2020년대 들어, 디지털 자산이 개인 투자자를 넘어 기관의 재무 전략에도 본격적으로 편입되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스트래터지(Strategy, 구 MicroStrategy)는 2020년 이후 기업의 잉여 현금을 비트코인으로 전환하고, 추가 자금 조달을 통해 대규모 매입에 나서며 일종의 ‘비트코인 보유 기업’으로 재정의되었다.
그 뒤를 잇는 메타플래닛(Metaplanet)을 포함해 다양한 후발 주자들이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으며, 디파이 디벨롭먼트(DeFi Development Corp.)와 같이 단순 보유를 넘어 디지털 자산을 주요 자산이자 수익 창출 수단으로 활용하는 새로운 기업 유형도 등장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이들을 디지털 자산 재무 기업(Digital Asset Treasury Company, 이하 DAT 기업)라 정의한다.
DAT 기업은 디지털 자산을 중심으로 대차대조표를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금 조달, 수익 창출, 시장 내 포지셔닝을 수행하는 상장 기업을 의미한다. 기존의 금융기관이나 운용사와 달리, 이들은 직접적으로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며 “디지털 자산이 곧 전략”이라는 전제를 내세운다.
DAT 기업이란 디지털 자산을 중심으로 대차대조표를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금 조달, 수익 창출, 시장 내 포지셔닝을 수행하는 상장 기업을 의미한다. 기존의 금융기관이나 운용사와 달리, 이들은 디지털 자산을 직접 보유하며 "디지털 자산이 곧 전략"이라는 전제를 내세운다.
본 보고서는 스트래터지, 메타플래닛 등 글로벌 DAT 사례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전략적 질문에 대한 해석과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