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대상 커뮤니티 기반 소포장 공동구매 플랫폼 유저 플로우

문제 정의

1인 가구는 소포장 식료품을 저렴하게 구매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문제 배경 및 근거

  1. 거시적 배경): "대한민국은 이제 3가구 중 1가구가 '1인 가구'인 시대로 진입했습니다." (1인 가구 급증 통계) → 시장성 보여줄 수 있음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20년 우리나라의 총인구는 5182만 명이고, 총가구 수는 2092만 가구인데, 그중 1인 가구는 664만3000가구로 31.7%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2000년(총인구 4600만 명, 1인 가구 226만 가구)과 비교해 20년만에 1인 가구 수는 3배, 총가구 중 1인 가구 비율은 6배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저출산 고령화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손꼽히고 있고, 앞으로도 1인 가구의 증가는 가파르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 식품저널 foodnews(http://www.foodnews.co.kr)

image.png

2010년 이후에는 2인 가구(24.2%)와 함께 1인 가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인 가구는 2035년까지 전체 가구의 34.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여 2인 가구(34.0%)와 함께 대표적인 가구 형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측된다.

image.png

1인 가구의 급증

  1. 타겟의 특징: "하지만 이들의 소득은 전체 가구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며, 지출에서 '식비'와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소득 및 소비지출 통계) → 이들은 가격에 민감.

image.png

image.png

  1. 소비자는 물가 상승을 체감하고 있으며, 올해는 식료품 구매 시 가격을 더욱 신중하게 고려합니다

image.png

  1. 1인가구를 중심으로 식료품 주 구매 채널이 온라인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확인됩니다

  2. 모바일 앱으로 식료품을 구매할 때는 가격 할인/특가 문구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습니다


  1. 핵심 문제: 대용량 제품은 저렴하지만 결국 버리게 되고, 소포장 제품은 편리하지만 단위당 가격이 너무 비쌈(소비 패턴, 가격 비교 자료) → 사용자가 겪는 딜레마

대량구매 가격과 소포장 가격 비교

소비 패턴 변화: 실속·소량 중심 소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