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록
- 원활한 의사소통 및 협업 분위기
- 핵심 트러블 슈팅 정리
- 역할 분담 잘되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불만사항이 없었다.
- 서로 응원하고 피드백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줘서 즐거운 마음으로 프로젝트를 마무리 할 수 있었다.
- 노랑
- Git - hub 연결에 많은 시간투자를 한 점이 아쉽다.
- 작은 규모의 트로블 슈팅 기록은 남기지 않아서 아쉽다.
- 다음에는 오류가 났을 때 급급하게 해결하기 보단 그때마다 기록을 하는 습관이 필요할 것 같다.
- 배운 점을 활용해서 만들고 결국 GPT의 도움을 받는 바인딩코딩을 하게 된 점이 아쉽다.
- 팀원이 고민하고 있을 때 좀 더 고민을 나누려는 점을 개선해야 할 것 같다.
- 파랑
-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혼자 고민하지 말고 적극적인 의사소통 및 바이브 코딩을 해보고 시팓.
- 혹시 이해 안되는 부분이 있으면 바로 상의하기
- GPT에 물어보기 보다 팀원들과 의견 나누기
- 내가 부족한 부분을 책이나 영상을 통해 좀 더 찾아보고 싶다.
- 분홍
: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혼자 고민하지 말고 적극적인 의사소통 및 바이브 코딩을 해보고 싶다.
<aside>
📌 KPT 회고는 프로젝트나 팀 활동을 마치고 나서, ‘Keep’ (계속 유지할 점), ‘Problem’ (문제점), ‘Try’ (새롭게 시도할 점) 3가지 관점으로 회고를 진행하는 방법입니다.
- 🟢 Keep : 좋았던 점, 잘 작동했던 점, 계속 유지하고 싶었던 점 등을 기록합니다.
- 🔴 Problem : 문제점, 개선이 필요한 점, 다음에는 피하고 싶은 점 등을 기록합니다.
- 🟡 Try :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도해보고 싶은 새로운 방법, 개선 방안 등을 기록합니다.
</aside>
<aside>
📌 KPT 회고의 효과
- 팀원들의 의견을 공유하고, 서로의 생각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도출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 실행 가능한 Action을 도출하여 개선을 유도합니다.
- 팀의 성장을 촉진하고, 협업 방식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aside>
<aside>
📌 KPT 회고 진행 방법
- (10분) 각 팀원은 상의하지 않고 Keep과 Problem 카드를 작성합니다. (최소 2개 이상)
- (10분) 시간이 끝나면 각자 돌아가며 포스트잇을 붙이며 작성한 내용을 발표합니다.
- (20분) 도출된 문제에 대해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내용을 Try에 같이 작성합니다. (최소 5개 이상)
- (5분) 팀원들과 얘기하여 실천할 수 있는 1차 Try를 선별합니다. (3개)
- (5분) 한 사람 당 2개의 투표권을 가지고 마음에 드는 Try를 선별합니다. (1개)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