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교좌표계 VS 극좌표계"

자존심 강한 두 그래프의 대결

자존심 강한 두 그래프의 대결

저번 주 데카르트가 발명한 직교좌표계에 이어서 이번 주에는 좌표계에 그려진 그래프 이야깁니다. 자, 우선 위에 그려진 두 개의 그래프를 살펴봅시다. 왼쪽의 그래프는 우리가 자주 본 막대 차트(Bar Chart)입니다. 엄밀히 얘기하면 한 막대에 여러 요소가 쌓여 있는 Stacked Bar Chart인데요, 이를테면 연도별로 어떤 치킨🍗브랜드가 잘 나갔는지를 차트로 그린다면 이 차트를 사용할겁니다.

그렇다면 오른쪽 녀석은 뭘까요? 뭔가 멋져 보이지만 한눈에 이해하기는 어려운 그래프죠? 녀셕의 이름은 콕스콤 차트(Coxcomb Chart)입니다. Coxcomb은 멋 부리는 사람을 뜻하는데 어원은 수탉(Cock)의 볏(Comb)이라고 하는데, 잘 살펴보니 닭의 볏을 닮은 것 같기도 하군요. 다른 이름도 있습니다. 그래프가 장미잎을 닮았다고 해서 Rose Chart라고도 합니다. 때로는 Rose Chart 앞에 어떤 위인의 이름이 붙기도 하는데요. 바로 이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 보고서를 만든 나이팅게일! 나이팅게일 이야기는 잠시 뒤에 하겠습니다.

피곤해보이는 플로렌스 나이팅게일(1860년대, 사진)

피곤해보이는 플로렌스 나이팅게일(1860년대, 사진)

저번 주 좌표계에 이어서 갑자기 웬 차트 설명이냐고 할 수 있겠지만 다 이유가 있습니다. 그건 바로 두 그래프는 사실 같은 그래프라는 것! 단순히 좌표계만 다를 뿐입니다. 왼쪽의 녀석은 직교좌표계, 오른쪽 녀석은 극좌표계에 그려진 차트일 뿐, 사실상 같은 내용을 전달하는 그래프입니다. 한 번 머릿속에서 상상을 해 보세요. 막대 차트를 피자 조각으로 만든 뒤, 한 점을 중심으로 배치해보면? 바로 콕스콤 차트가 될 겁니다.

물론 엄밀히 따지면 두 그래프는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아직 소개해 드리지 못한 여러 좌표계와 그에 따라 달라지는 그래프 이야기는 다음 주에 이어가보도록 하고... 우선 이번 주는 두 그래프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두 요소 사이의 미묘한 차이를 확인하려면 직교좌표계의 막대 차트가 더 유용할 겁니다. 하지만 전체적인 패턴을 파악할 때는 콕스콤 차트가 좋을 거예요. 패턴 파악의 강점이 여실히 드러난 예가 바로 밑의 그래프입니다.

나이팅게일의 사망 원인 도표, 나이팅게일은 통계학자이기도 했다

나이팅게일의 사망 원인 도표, 나이팅게일은 통계학자이기도 했다

이 그래프가 바로 나이팅게일이 그린 DIAGRAM of the CAUSES of MORTALITY입니다. 1853년부터 1856년까지 크림반도에서 발생한 크림 전쟁 을 겪고 난 뒤 나이팅게일은 영국군의 건강에 관련된 보고서를 작성합니다. 의료 통계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알려진 윌리엄 파의 도움을 받아 작성한 이 도표도 그 보고서에 포함돼있었죠.

한 개의 피자 조각은 1개월을 나타냅니다. 조각 안의 색깔은 사망 원인을 뜻하죠. 붉은 부분은 전투 중 부상으로 인한 사망, 검은색은 기타 원인으로 인한 사망, 그리고 파란색은 전염병으로 인한 사망입니다. 3년간의 전쟁을 벌였지만 가장 많은 사망원인은 전투가 아닌 전염병! 콕스콤 차트로 보니 그 영역이 훨씬 강조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aside> 🐣 콕스콤 차트를 만든 건 나이팅게일?

백의의 천사로 알려진 나이팅게일은 통계학자이기도 했습니다. 위의 그래프가 포함된 보고서를 작성한 뒤 통계 시각화에 공헌했다는 이유로 영국 왕립 통계학회 최초의 여성 회원으로 선출됐습니다. 미국통계학회의 명예 회원이기도 하죠!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