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예제 자료 소개

- 나는 본 연구에 참여하는 것을 동의합니다.  — 예, 아니오
- 귀하의 성별은? —남성, 여성
- 귀하의 나이는?
- 귀하의 학력은? — 고등학교 졸업 이하, 대학교 재학, 대학교 졸업, 대학원 재학 이상
- 귀하의 혼인 상태는? — 미혼, 기혼 (동거 포함), 기타 (이혼, 사별, 별거)
- 기본심리욕구(BPNS) 18문항 — 1 (전혀 아니다) ~ 5 (매우 그렇다)
  1. 나는 다른 사람들에 의해 통제받고 억압을 받는다고 느낀다. (*)
  2. 내 일을 진행하는 방법을 스스로 결정할 기회가 많지 않다. (*)
  3. 일상생활에서 나는 자주 남이 시키는 대로 해야만 한다. (*)
  4. 나는 대체로 내 생각과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고 느낀다.
  5. 나는 내가 내 인생을 어떻게 살아갈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고 느낀다.
  6. 어떤 일을 할 때 내 생각대로 일을 처리하기 보다는 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처리 방식을 따를 때가 많다. (*)
  7. 나는 내 자신이 매우 효율적이라고 느낀다.
  8. 나는 대부분 내가 하는 일들로부터 성취감을 느낀다.
  9. 내가 아는 사람들은 내가 일을 잘한다고 말한다.
  10. 나는 내게 주어진 일을 잘 해결할 능력이 있다고 느낀다.
  11. 나는 내가 아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가르칠 수 있다고 느낀다.
  12. 나는 다른 사람보다 잘하는 것이 많다고 느낀다.
  13. 나는 내 주변 사람들로부터 사랑과 관심을 받는 것을 느낀다.
  14. 나와 정기적으로 만나는 사람들은 나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것 같다. (*)
  15. 나는 내가 만나는 사람들과 잘 지낸다.
  16. 나는 내 주변 사람들을 정말 좋아한다.
  17. 내 주변 사람들과 나는 평소에 서로 도움을 주고 받는다.
  18. 내 주변 사람들은 평소에 나와 감정을 공유할 때가 많다.
- 아동기 외상 (CTQ) 중 정서적 방임/학대 10문항 — 1 (전혀 없음) ~ 4 (자주 있음)
  1. 내가 듣기 싫은 별명으로 부르곤 했다. (예: 멍청이, 뚱땡이)
  2. 나에게 “너 같은 애는 태어나지 말았어야 했어.”라고 말한 적이 있다.
  3. 가족 중에 나를 미워하는 사람이 있다고 느꼈다.
  4. 가족 중에 나에게 모욕적인 이야기나 심한 말 등을 해서 마음이 상한 적이 있다.
  5. 나는 정서적으로 학대를 당한 적이 있다.
  6. 가족 안에서 사랑받았다고 느꼈다. (*)
  7. 가족 안에서 내가 중요한 존재라는 생각이 들었다. (*)
  8. 우리 가족들은 서로 가깝다고 느꼈다. (*)
  9. 우리 가족은 나를 지지해준다고 느꼈다. (*)
  10. 우리 가족은 서로를 배려한다고 느꼈다. (*)

[참고 1] *가 붙어 있는 문항은 역채점 문항을 나타낸다.
[참고 2] 기본심리욕구 척도의 경우, 문항 1~6은 자율성, 문항 7~12는 유능성, 문항 13~18은 관계성을 측정한다. 
[참고 3] 아동기 외상 척도 중 문항 1~5는 정서적 학대, 문항 6~10은 정서적 방임을 측정한다.
> mydf = as.data.frame(read_excel(path = '/cloud/project/mydata.xlsx'))

2. 자료의 전처리

2-1. 변수명 바꾸기

> paste0('ab', 'cd')
[1] "abcd"

> paste0('ab', 'cd', 'e')
[1] "abcde"

> paste0('ab', 123, 'cd', 45)
[1] "ab123cd45"

> paste0('ab', c(1,2,3))
[1] "ab1" "ab2" "ab3"

> paste0(c(1,2,3), 'ab')
[1] "1ab" "2ab" "3ab"

> paste0(c(1,2,3), c('ab','cd','ef'))
[1] "1ab" "2cd" "3ef"
> paste0('bpns', 1:18)
 [1] "bpns1"  "bpns2"  "bpns3"  "bpns4"  "bpns5"  "bpns6"  "bpns7"  "bpns8" 
 [9] "bpns9"  "bpns10" "bpns11" "bpns12" "bpns13" "bpns14" "bpns15" "bpns16"
[17] "bpns17" "bpns18"

> 1:18
 [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names(mydf) = c('agree', 'age', 'sex', 'edu', 'marital',
                  paste0('bpns', 1:18),
                  paste0('ctq', 1:10))

> names(mydf)
 [1] "agree"   "age"     "sex"     "edu"     "marital" "bpns1"   "bpns2"  
 [8] "bpns3"   "bpns4"   "bpns5"   "bpns6"   "bpns7"   "bpns8"   "bpns9"  
[15] "bpns10"  "bpns11"  "bpns12"  "bpns13"  "bpns14"  "bpns15"  "bpns16" 
[22] "bpns17"  "bpns18"  "ctq1"    "ctq2"    "ctq3"    "ctq4"    "ctq5"   
[29] "ctq6"    "ctq7"    "ctq8"    "ctq9"    "ctq10"

<aside> 💡 [실습] 변수 이름 중 일부를 변경하고자 할 때는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1) marital이라는 변수 이름을 marital.status로 변경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을 작성해봅시다.

(2) ctq1 ~ ctq10이라는 변수 이름을 ctq.e1 ~ ctq.e10으로 변경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을 작성해봅시다.

</aside>

2-2. 자료의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