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워크숍 개요
1-1. 목표
- R을 사용해서 원하는 구조의 자료를 생성하는 방법을 배운다.
- R을 사용해서 자료를 전처리하고 기초적인 분석을 실시하는 방법을 배운다.
- R을 사용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하는 방법을 배운다.
- R을 사용해서 구조방정식을 사용한 분석을 실시하는 방법을 배운다.
1-2. 참고 자료
<aside>
📎 [참고] R studio (Posit Cloud) 소개
- 콘솔(console) 창
- 왼쪽 하단에 위치
- 콘솔 창은 명령을 직접 입력하고 그 결과가 출력되는 곳이다 .
- 콘솔 창에 표시와 함께 커서가 깜박이고 있으면 , 새로운 명령을 기다리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 때 , 커서 부분에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 를 누르면 명령이 실행되고, 결과가 출력된다.
- 만약 콘솔 창에 + 표시와 함께 커서가 깜박이고 있으면 , 앞서 입력한 명령이 아직 완료되지 않아 추가적인 입력을 기다리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 경우 , 추가적인 명령을 입력한 후 Enter를 눌러 실행시키거나 Esc 를 눌러 명령 입력을 중단시킬 수 있다.
- 스크립트(script) 창
- 왼쪽 상단에 위치
- 스크립트 창은 명령어를 입력하고 편집할 수 있는 편집기이다.
- 스크립트 창에 명령어를 입력하는 것만으로는 명령어를 실행시킬 수 없다. 스크립트 창에 입력된 명령어를 실행시키려면 해당 줄 아무 위치에나 커서를 놓고 Ctrl+Enter(Mac 의 경우 Command+Return)을 누르면 해당 줄이 콘솔에 입력 및 실행되고, 콘솔 창에 결과가 출력된다.
- 스크립트를 저장하면 .R 파일이 생성된다. 스크립트 파일은 명령어만을 저장하며, 분석 결과는 저장되지 않는다. (분석 결과를 저장하려면 작업공간(workspace)을 저장해야 한다.)
- Environment/ History/ Connections/ Tutorial 창
- 우측 상단 창에는 여러 탭이 존재하며, 주로 Environment 와 History 탭을
사용한다.
- Environment 탭은 현재 작업 공간 메모리 에 저장되어 있는 변수, 데이터 등의 이름과 속성을 보여준다.
- History 탭은 이전에 사용한 명령문을 실행된 순서대로 보여준다.
- Files/ Plots/ Packages/ Help/ Viewer 창
- 우측 하단 창에도 여러 탭이 존재한다.
- Files 탭은 탐색기와 같은 역할을 한다.
- Plots 탭은 그래프를 생성하라는 명령을 실행했을 때 그 결과를 출력한다.
- Packages 탭은 설치되어 있거나 설치할 수 있는 패키지 정보를 보여준다.
- Help 탭은 도움말을 제공한다.
- Viewer 탭은 local web content를 보기 위해 사용한다.
</aside>
2. R에서 자료 생성하기: 직접 입력하기
2-1. 변수(variable) 생성하기
- R에서는 정보를 하나의 변수(variable)로 저장한다. 그리고, 생성된 변수(들)을 사용해서 다양한 계산/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 R 콘솔창에 아래와 같이 입력하고 Enter(Mac에서는 Return)를 눌러 실행시키면,
x
라는 변수가 생성되며, 이 변수에는 5라는 값이 입력된다. 이 명령문에서 =
기호는 ‘같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
의 왼쪽에 있는 변수에 =
의 오른쪽에 있는 값을 대입하라는 의미이다.
> x = 5
- 아래와 같은 명령을 실행해도 동일하게
x
라는 변수가 생성되고, 이 변수에 5라는 값이 입력된다. 즉, R에서는 =
과 <-
이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 x <- 5
- Rstudio에서 Environment 창을 통해 현재 작업 공간(workspace)에 생성되어 있는 변수들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