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의 CentOS 7버전 부터 30기가 디스크가 있으면 디스크의 이름은 /dev/sda 이고, 부팅을 위한 정보를 sda1 파티션에 나머지 정보를 담는 sda2파티션으로 나뉩니다.

디스크 = sda, sdb, sdc

파티션 = sda1, sda2, sda3

리눅스에서는 각 파티션마다 파일시스템을 포맷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각 파티션마다 파일시스템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Mount의 단어의 뜻은 사용하기 위해 어딘가에 고정하는 것라는 뜻도 있습니다.

말 그대로 디렉토리에 디스크를 고정하는것입니다. 우리가 컴퓨터에 usb를 꽂으면 윈도우는 자동으로 마운트작업을 해줍니다. 하지만 리눅스의 CLI환경에서는 자동으로 해주지 않아 직접해줘야합니다. 마운트는 껏다키면 해제가 되기 때문에 /etc/fstab 에 마운트 정보를 적어 시스템이 켜질때 자동으로 마운트 되게 설정해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