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료형

1-1. 숫자형 자료형

  1. 정수형(int): 양수, 0, 음수

    a = 123

    b = -187

    a = 0

b. 실수형(float): 소수점을 포함한 숫자

a = 1.2 >>> a = 4.24E10(컴퓨터식 지수 표현) → 4.24*10**10

a = -3.45 >>> a = 4.24e-10(컴퓨터식 지수 표현) → 4.24*10**-10

a = 1.0

c. 8진수(Octal), 16진수(Hexadecimal)

a = 0o177 (Octal)

a = 0o8ff (Hexadecimal)

1-2. 사칙연산

  1. +, -, *, /

  2. ** (제곱)

    1 >>> a = 3
    2 >>> b = 4
    3 >>> print(a**b)
    4 81
    
  3. % (나눗셈 후 나머지 반환)

    1 >>> print(7 % 3)
    2 1
    3 >>> print(3 % 7)
    4 3
    
  4. // (나눗셈 후 몫을 반환)

    1 >>> 7 / 4
    2 1.75
    3 >>> 7 // 4
    4 1
    

1-2. 문자열 자료형

  1. 문자열(str)은 어떻게 만들고 사용할까?

    a. “” → “Hello world”

    b. ‘ ‘ → ‘python is fun’

    c. “”” “”” → “””Life is too short”””

    d. ‘’’ ‘’’ → ‘’’Life is too short’’’

  2. 문자열 안에 작은 따옴표, 큰 따옴표를 포함시키고 싶을 때

    1. 문자열에 작은 따옴표 포함시키기 → “python’s favorite food is perl”

    2. 문자열에 큰 따옴표 포함시키기 → ‘”python is very easy.” he says.’

    3. 백슬래시 사용 → ‘pytohn\’s favorite food is perl’

                         → “\\”python is very easy.\\” he says.”
      
  3. 줄바꿈 (\n)(’’’ or “””)

    1. multiline = “life is too short\nYou need python” (읽기 불편하고 줄이 길어지는 단점 있음)

    2. multiline = ‘’’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

코드 설명
\n 문자열 안에서 줄을 바꿀 때 사용
\t 문자열 사이에 탭 간격을 줄 때 사용
\\ 문자 \ 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작은 따옴표를 그대로 사용할 때 사용
\” 큰 따옴표를 그대로 사용할 떄 사용
\r 캐리지 리턴 (줄 바꿈 문자, 현재 커서를 가장 앞으로 이동)
\f 폼 피드 (줄 바꿈 문자, 현재 커서를 가장 앞으로 이동
\a 벨 소리 (출력할 때 pc에서 ‘삑’ 소리가 난다)
\b 백 스페이스
\000 널 문자
  1. 문자열 연산
    1. Concatenation (문자열 더해서 연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