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비스 개요
- 서비스명: 타임브릿지 (TimeBridge)
- 슬로건: 부모와 자녀의 시간을 잇다
- 한 줄 정의: 앱이 던지는 질문에 부모와 자녀가 각자 답변하며 서로의 삶을 발견하고 이해하는 비동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 기획 의도:
- 부모의 '부모 되기 이전'의 삶을 이해하고, 그 시절의 고민에 공감
- 나와 같은 나이였을 때의 부모님과 현재의 나를 비교하며 세대 간 유대감 형성
- 평소에 직접 묻기 어색하고 어려운 질문을 통해 소통의 진입장벽 해소
- 질문과 답변이 기록되어 우리 가족만의 소중한 디지털 회고록 생성
2. 핵심 기능 제안 (MVP)
MVP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서비스의 핵심 가치를 경험하는 데 가장 필수적인 기능에 집중합니다. 복잡한 소셜 기능, 꾸미기 기능 등은 과감히 제외하고 '질문-답변-공유-보관'의 흐름을 완성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1. 오늘의 질문 카드
- 푸시 알림: 매일 또는 2~3일에 한 번, 정해진 시간에 새로운 질문이 도착했음을 알립니다.
- 질문 카드 제시: 사용자가 앱을 켜면 오늘의 질문이 카드 형태로 제시됩니다. 질문은 기획 의도에 맞춰 '사소한 취향', '젊은 시절', '만남과 연애' 등 다양한 카테리에서 무작위로 제공됩니다.
2. 답변 작성 및 공유
- 텍스트 중심의 답변: 간단한 텍스트 편집기 형태로 답변을 작성합니다.
- 사진 1장 첨부 기능: 답변과 관련된 사진을 딱 1장만 첨부할 수 있게 하여, 가장 의미 있는 순간을 공유하도록 유도합니다. (예: '신혼여행' 질문에 당시 사진 첨부)
- 답변 완료 및 공유: 답변을 저장하면 연결된 가족에게 알림이 가고, 누구든 먼저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3. 타깃 고객
- Primary Target (주도적 사용자): 20대 후반 ~ 40대 초반의 성인 자녀
- 부모님과의 관계를 더 깊게 만들고 싶지만, 방법을 잘 모르는 세대.
- 부모님의 과거와 개인적인 삶에 대한 막연한 궁금증을 가지고 있음.
- 디지털 기기 사용에 익숙하며, 비동기적 커뮤니케이션(카톡, DM 등)에 편안함을 느낌.
- 자신의 정체성과 뿌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시기.
- "평소에 이런 대화를 해보고 싶었지만 쑥스러워서 못했어요"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 Secondary Target (수동적 참여자): 50대 후반 ~ 70대 부모님
- 자녀와 더 소통하고 싶지만, 세대 차이나 표현의 서투름으로 어려움을 겪음.
- 자신의 살아온 이야기를 자녀에게 들려주고 싶어 하는 니즈가 있음.
- 복잡한 앱 기능에 거부감을 느끼므로, 매우 직관적이고 단순한 사용성이 필수적.
- 스마트폰 사용이 '전화, 카톡, 유튜브' 등에 한정된 경우가 많음.
4. 디자인 컨셉 제안
타깃 고객의 특성, 특히 부모님 세대의 디지털 접근성과 서비스가 추구하는 '따뜻함'과 '진정성'을 고려한 디자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