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목차
</aside>
아래 링크 목차 중 <1> Google cloud 가입하기만 따라해서 무료계정을 만들어둔다
→ 여긴 쉬우니까 스크린샷 첨부 안할게요 Google cloud 가입까지만 따라하고 서버는 만들지 마세요.
무료 서버를 구축해야하니 다음 링크 참고
[GCP]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평생 무료 서버 구축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GCP 무료 서버 생성하기(22년 6월 기준)
위 링크를 그대로 따라한 내 과정은..
VM인스턴스 이동 후 인스턴스 만들기를 해준다
그 후 리전을 서울로 맞춰주시고 시리즈를 E2 머신유형을 e2 micro(vCPU 2개,1GB 메모리로 설정)
부팅디스크는 무료 최대인 30G용량으로 제한하고 표준 영구 디스크로 반드시 선택해야 과금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http,https 트래픽을허용해줍니다.
<aside>
💡 방화벽까지 설정이 완료되면 만들기
를 눌러주고 잠시 기다리면 인스턴스가 생성 완료된다.
</aside>
가상 머신 생성 후 해당 링크 에서 결제상태가 매월 0원인지 확인하기
→ GCD SSH에서 git을 설치하고 로그인해봅시다
Google Cloud에서 (GCD 라고 부른다) Ubuntu 20.04 LTS Minimal 버전에서 git을 연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단 인스턴스된 서버에 접속하기위해 SSH를 클릭하여 연결합니다.
약간의 로딩 후 아래와같은 창이 뜬다면 성공입니다
<aside> 💡 그럼 본격적으로 SSH를 통해 콘솔을 입력하기 전에, github에서 저장소를 생성해봅시다
</aside>
좀있다가 서버에 git을 클론할때 저장소 경로가 필요하니 기억해둡시다
이제 다시 VM 인스턴스로 돌아와 Git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SSH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git
이제 방금전에 만든 git 저장소를 불러옵니다. 저는 따로 폴더를 새로 만들고 그 안에 git 레포토지를 클론하겠습니다
git을 클론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git clone <당신의 주소>.git
당신의 깃허브 레포토지를 복사하여 <당신의 주소>
에 붙여넣고 뒤에 .git
을 적어주면 됩니다
아래 예시는 제 저장소 기준입니다.
mkdir - cd 과정은 생략해도 상관없습니다.
mkdir autoCommit
cd autoCommit
git clone <https://github.com/HelloZOOO/TestRepo.git>
ls 로 확인해보면 제대로 clone 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estRepo 안에 들어가서 다시 ls 를 해보면 아까 git 리포토지를 만들때 포함시켰던 README.md 가 정상적으로 불러와진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commit과 push를 담당할 스크립트를 제작해줄겁니다.
그 전에, pwd
를 통해 자신의 경로가 어디인지 확인해주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nano commit.sh
그리고 다음 코드를 입력해줍시다
/path/to/your/repo 부분에 아까 pwd
로 확인한 자신의 경로를 입력합니다.
절대경로가 싫으신분들은 상대경로로 ./
를 넣으면 되는거 아닌가 싶겠지만, 이럴 경우 직접 손으로 bash 할거면 상관없지만, crontab 을 이용할것이기 때문에, 절대경로를 넣어야 정상적으로 코드가 실행됩니다.
#!/bin/bash
cd /path/to/your/repo
git add .
git commit -m "Automated commit $(date)"
git push origin main
변경사항을 모두 추가 한 후에 커밋 메시지로 커밋날짜를 불러와 main에 push하는 코드
코드를 다 작성했으면 ctrl + x
를 입력 후에 y
와 enter
를 순차적으로 눌러 저장해줍시다.
이제 commit 준비는 완료되었습니다.
간단하게 테스트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commit.sh 스크립트를 실행시켜봅시다.
bash commit.sh $
그러면 commit 과 push 권한을 얻기 위해 로그인을 하라고 하는데, 그대로 로그인해도 상관은 없지만, 저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겠습니다.
깃허브에서는 토큰 인증 방식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토큰 인증 방식을 사용하면 비밀번호 대신 토큰을 사용하여 인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앞으로 깃 명령어를 실행할 때 비밀번호 대신 토큰을 입력해도 됩니다.
<aside> 💡 토큰 로그인 방식은 다음 글을 참고해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aside>
요약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git config --global credential.helper store
git config --global user.password **<당신의 토큰>**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당신의 github email"
git config --global user.name "당신의 github 이름"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다시 아래 스크립트를 실행시키고 유저네임과 비밀번호(토큰) 을 입력해주면
bash commit.sh $
유저네임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할것입니다.
끝났으니까 컴터 꺼버리고 잠이나 주무십쇼.
이제 하루1커밋을 깜빡해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