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참고

git clone 느낌

변경 이력이 적용된 원격 저장소 전체를 로컬에 복사하는 것.

예를들어 과제하는 철수가 한글 파일을 작성 중에 있다고 합시다. 그런데 깃 기술이 들어간 한글 파일입니다. 그래서 작업을 한 후 저장 버튼을 누를 때마다 변경사항1, 변경사항2 ... 형식으로 계속 파일이 특정 폴더에 저장됩니다. 예를 들어 'apple'을 작성하고 저장하면 특정 폴더에 변경사항1 파일이 생기고 'banana'를 추가로 작성하면 변경사항2 파일이 생기면서 추가로 작성한 부분(변경 사항을 기록한)파일로 저장하는 느낌입니다. 

철수가 작업을 다 작성할 시점에 파일을 날리지 않기 위해 100번 저장했다고 합시다. 그러면 내가 철수의 최종 제출한 과제를 클론하면 마지막(변경사항100) 내역 뿐만 아니라 변경사항(1~100)이 모두 담겨져 있기 때문에 저장 사항 별로 일일이 확인 할 수가 있습니다.

느낌
저장한 작업 단위의 묶음을 내 컴퓨터에 복사하는 것

Untitled

1차 미션 제출 링크로 들어가서 본인의 원격저장소 주소 확인한 후 로컬에 클론 받기 (클론 받을 때 앞으로 주차별미션제출 관리 할 폴더를 지정해서 폴더 안에서 클론을 실행하였음)

아래 명령어로 1차 Mission 제출 링크 클론

**command**
git clone 본인주소

**ex)** git clone <https://github.com/Django-Mission/django_mission_01-woodstock1993.git>

공식 문서

Git - git-clone Documentation

참고 문서

원격 저장소 복제(Clone)하기 【저장소 공유】 |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Git 입문~버전 관리를 완벽하게 이용해보자~ | Backlog

git add

 .git이 있는 작업 영역에서 변경사항이 생겼을 때 이를 최종 commit(원격 저장소에 보낼 변경 사항을 최종적으로 정하는 행위)할 대상에 산입 시키는 것

위 예시에서 철수가 빈 페이지에서 저장 버튼을 누르기 전까지의 변경사항을 기록한 파일이라고 인식하면 된다. 저장 버튼을 누르기 전까지 작업한 내역은 계속해서 변경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저장하고 싶은 시점에 작성된 변경사항**이 add의 대상이 된다.  

git add 예시

Untitled

Untitled

첫번째 사진의 경우 과제미션을 만든 로컬에서의 경로이고 아래의 경우 깃 클론을 처음 받은 후 해당 폴더 내부 모습이다.

해당 폴더에 .git이라는 폴더가 생기는데 .git이 생기는 위치 및 하위 경로에서 생성되는 파일 및 이와 관한 변경사항은 모두 기록된다. 위의 예시에서 철수가 저장 **버튼을 누르는 행위 직전까지의 작업변경사항**이 git add에 해당한다.
 
추가로 해당 경로에 Basic 폴더를 만들 경우 git이 추적하지 못하지만(그림 a) Basic 폴더를 만든 이후 그 안에 'a'라는 이름의 파일을 만들면 깃의 추적 대상이된다(그림 b) 즉 **파일을 추적**하는 것이 특징.
폴더만 만든 후 .git이 있는 위치에서 git status를 쳤을 경우 아무 것도 추적하지 못한다.

그림 b

그림 b

a라는 파일을 Basic 폴더 안에 생성 후 .git이 있는 위치에서 git status를 쳤을 경우 위와 같이 커밋하시겠습니까? 라는 문구가 뜬다. 드디어 변경사항이 잡힌다. 그리고 위의 물음은 **변경사항**(Δ) 부분에 대해 커밋 내역으로 포함하시겠습니까의 의미이다. 

commit(원격 저장소에 보낼 변경 사항을 최종적으로 정하는 행위)

참고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