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 사회와 시리아 난민의 이동

관련 뉴스레터 보러가기:

Vol.13 시리아 내전과 난민



🖇 아티클 요약

<aside> 💡 과학기술의 변화에 따라 제기되는 난민을 둘러싼 행위자와 이들의 상호작용의 변화는 ‘새로운 난민’ 혹은 ‘새로운 환경’에 있는 난민을 보호하기 위해 보다 강화된 국제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aside>

2018년 예멘 난민 이슈가 발발했을 때 다음과 같은 이유로 난민을 받아선 안 된다는 주장이 힘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이는 현실을 전혀 모르는, 무지라기보다 '난민 실태에 대한 몰이해'에서 비롯된 이야기들입니다. 우선 여권에 대해 말하자면 위조 여권을 가진 이들도 '난민'입니다. 목요일의 Deep Dive 에서 말씀드렸듯이 2020년 말 기준으로 강제 실향민이 된 이들은 전 세계 인구의 1%인 8,240만 명입니다. 이중 유엔에 등록된 난민은 2,640만 명, 특히 시리아 난민이 670만 명으로 1/4을 차지하는데요. 시리아가 장기 내전으로 치닫는 것은 물론 주변국과 강대국이 직간접적으로 개입하면서 국제사회에서 간과하기 어려운 의제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