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상권분포
- 서울시 상권분석 서비스의 분류기준에 따른 총 1495개의 상권

서울시 상권 분류
골목상권(1,010개)
점포 밀집도가 높은 골목상권



발달상권(253개)
8대업종 점포 밀집지구

전국 36만개 블록 기반, 2016년 중소벤처기업부 260개 발달 상권영역에서 전통시장 등 중복제거
전통시장상권(227개)
전통시장 위치 상권

상가업소 DB자료를 활용, 중소벤처기업부/서울특별시/한국국토정보공사의 상권영역 정보에서 전통시장 결정
관광특구상권(6개)
관광지구 내 상권

관광특구 지역의 지정위치와 면적을 기준으로 수치제도 제작하여 설정
➡️ 이 중 클러스터링에 오류를 만들 수 있는 관광특구, 전통시장상권은 제외
우리의 상권 분류
각기 다른 패턴을 보이는 클러스터 도출


같은 신사역 근처여도 세분화하면

2020년 2분기 클러스터 별 매출

우리가 3개의 상권에 집중한 이유
- 우리 분석의 목적은 유동인구, 직장인구, 거주인구 등 "상권의 극명한 특징에 따라 코로나로 인한 타격의 정도가 달라지는지" 를 확인해 보는 것. 따라서, 모든 상권을 살펴보기 보단, 상권의 특징을 이루는 각 변수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곳을 선정해 심도있게 분석해 보는 것을 선택했다. 이를 통해 상권의 특징 - 코로나 타격 간의 상관관계를 더욱 명확히 확인해볼 수 있다.
- 푸근동네, 골목상권, 동네핵인싸 지역은 위 scale에서도 살펴볼 수 있듯이, 지표가 여럿 혼재되어있는 중간적 상권이다. 반면 유쫙소, 니네집, 핫플은 특징이 뚜렷하기 때문에 이 세 구역에 집중해서 depth 있게 설명을 하겠다.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