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리스토텔레스 사후 2000년 동안 그에 필적할 만한 철학자가 등장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권위는 교회의 권위만큼이나 무소불위의 지위를 누렸다.
    • 때문에 철학 뿐만 아니라 과학에서도 진보를 가로막는 심각한 장애요소가 되었음.
    • 17세기가 시작된 이래 지성사에 중요한 획을 그은 거의 모든 사상이 아리스토텔레스의 학설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논리학의 경우 이런 경향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나타난다.
  • 아리스토텔레스는 오늘날의 교수처럼 글을 쓴 첫 인물이다. 그가 쓴 논문은 체계를 갖추어 토론 내용이 항목별로 분류되어 있다.
  • 플라톤에게 스며들었던 오르페우스교의 요소가 아리스토텔레스에서는 희석되어 상식이라는 강력한 요소와 혼합되었다.
    • 아리스토텔레스가 플라톤 색채를 나타내는 곳에서는 누구나 그가 받은 가르침으로 인해 타고난 기질이 압도당했다고 생각한다.
    • 그는 종교에 기울지 않은 인물이다.
    • 그는 상세한 서술이나 비판의 측면에서는 최고 수준을 자랑하지만, 기초의 명확성이나 티탄의 광휘가 부족하기 때문에 거대한 체계를 구축하는데 실패한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을 어떤 논점에서 설명할지 결정하는 일은 어렵지만, 가장 설명하기 좋은 지점은 플라톤의 이상 이론을 비판하고 보편자 이론을 대안으로 제시하는 부분이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상식으로 희석된 플라톤 사상이라고 묘사해도 괜찮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플라톤 사상과 상식이 쉽게 섞이지 않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렵다.
  • ‘보편자’라는 용어는 여러 실체를 서술하는 본성을 지니기 때문에, ‘개별자’란 용어가 그 속성을 나타내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용한다.
    • 고유명사가 나타내는 대상은 ‘실체’인 반면, ‘인간답다’나 ‘인간’ 같은 형용사나 집합명사가 나타내는 대상은 ‘보편자’라 부른다.
    • 실체는 ‘이것(this)’ 이지만, 보편자는 ‘이러한 것(such)’에 해당하므로, 현실의 개별(particular) 사물이 아니라 사물의 종류를 가리킨다.
    • 보편자는 ‘이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체가 아니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에 따르면 ‘어떤 보편 명사이든 실체를 나타내는 이름이 되지는 못할 듯 하다. 왜냐면 각 사물의 실체는 그 사물의 고유한 것으로서 그 밖의 어떤 사물에도 속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편자는 사물 하나 이상에 속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물들에 공통된 무엇이다’
    • 다시 말해 보편자란 홀로 실존할 수 없고, 특정한 사물들 속에만 존재한다.
  • (러셀의 말)
    • 내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보편자 이론을 명료하게 설명하지 못했다면, 그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 자체가 명료하지 않기 때문이다.
    •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보편자 이론은 플라톤의 이상 이론에서 한 단계 진보한 이론이라 확신하며, 철학의 진정한 문제를 다룬 매우 중요한 이론이라는 점도 확실하다.
  • 아리스토텔레스와 그를 추종한 스콜라 철학자들에게 중요한 용어가 하나 더 있는데, 바로 본질(essence)이다.
    • 본질은 결코 보편자와 동의어가 아니다. 당신의 본질은 ‘당신이 바로 당신의 본성에 따라 존재하게 하는 무엇’이다.
    • 본질은 당신의 속성들 가운데 당신 자신이 아니게 되지 않고서는 잃어버릴 수 없는 속성들이며, 개별 사물뿐만 아니라 종도 본질을 지닌다고 말할 수도 있다. 종의 정의는 그것의 본질을 언급해야만 가능하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다음 논점은 ‘형상(form)’과 ‘질료(matter)’의 구분이다.
    • 대리석은 질료지만 조각가가 틀을 잡은 모양은 형상이다.
    • 그는 형상의 효력으로 질료는 어떤 한정된 사물이 되기 때문에 형상이 그 사물의 실체라고 말한다.
    • 아리스토텔레스는 영혼은 육체의 형상이라고 주장. 영혼이란 육체가 목적과 통일을 이루어서 ‘유기체’라는 말에서 연상되는 특징을 지닌 한 사물이 되도록 만드는 실체라고 주장.
  • 형상이란 질료의 일부를 통일하는 무엇이며, 이러한 통일은 언제나 그렇지는 않지만 목적론과 일치되는 듯 하다.
    • 한 사물의 형상은 그 사물의 본질이자 제일 실체라고 한다. 보편자는 실체가 아니지만, 형상들은 실체들이다.
    • 모든 사물이 다 질료를 갖지는 않는다. 영원한 사물들도 존재하는데, 이 영원한 사물들은 공간 속에서 움직이는 사물들을 제외하면 질료를 갖지 않는다.
    • 사물들이 형상을 얻게 되면 현실성이 증가한다. 말하자면 형상을 얻지 못한 질료는 가능태일 따름이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 형상 이론은 가능태(potentiality)와 현실태(actuality)의 구별과 관계가 있다.
    • 맨 질료(bare matter)는 형상의 가능태이다. 그러니까 변화란 모두 변화된 후에 해당 사물이 이전보다 더 많은 형상을 지닌다는 점에서 ‘진화’라고 부를 만하다. 형상을 더 많이 지닌 존재는 ‘현실성’을 더 많이 지녔다고 생각한다.
    • 신은 순수 형상이자 순수 현실태이다. 그러므로 신 안에서는 결코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 이 학설은 낙관론과 목적론을 포함하는 듯이 보일 것이다. 그러니까 우주와 우주 안의 만물은 이전보다 더 나아지는 쪽으로 계속 발전한다는 말이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신학은 흥미롭고 형이상학의 나머지 부분과 밀접하게 연결되는데, 사실 ‘신학’은 우리가 ‘형이상학’이라 부르는 학문을 아리스토텔레스가 부르는 명칭이다.
    • 그는 실체에는 세 종류, 곧 감각되고 소멸되는 실체, 감각되지만 소멸 하지 않는 실체, 감각되지도 소멸되지도 않는 실체가 존재한다고 말한다.
    • 첫째 부류에는 식물과 동물이 포함되고, 둘째 부류에는 천체가 포함되며, 셋째 부류에는 인간의 이성혼을 비롯한 신이 포함된다.
  • 신을 지지하는 주된 논증은 제일 원인 논증이다. 말하자면 운동의 기원이 되는 무엇이 존재함이 틀림없고, 이 무엇 자신은 운동해서는 안 되며, 영원한 실체이자 현실태여야 한다.
    • 아리스토텔레스는 욕망의 대상과 사유의 대상이 바로 이렇게 자신은 운동하지 않으면서 운동을 일으킨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