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듀이의 연구가 지닌 주된 가치는 전통적인 ‘진리’ 개념을 비판한데 있으며 자신이 ‘도구주의’라 부른 이론 속에서 구체적으로 표현했다.
- 대부분의 전문적인 철학자들의 생각에 의하면, 진리는 정적이고 궁극적이며 완벽하고 영원하다.
- 듀이의 관심은 수학이 아니라 생물학이기 때문에 사유를 진화의 한 과정으로 이해한다. 물론 전통적인 견해도 인간이 점차 더 많이 알게 된다는 점을 인정할 테지만, 성취한 각 부분의 지식은 궁극적인 무엇으로 여겨진다.
- 그는 인간의 지식이란 유기적인 전체로서 모든 부분을 거쳐 점차 성장하지만 완전한 전체에 이를 때까지는 어떤 부분의 지식도 완벽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 (러셀의 비판 생략)
- 듀이는 절대적으로 ‘참’이 될 판단들을 목표로 삼지 않으며, 모순된 판단들을 절대적인 ‘거짓’으로 단정하지도 않는다.
- 그의 견해에 따르면 ‘탐구’라 불리는 과정은 유기체와 환경 사이에 상호 조정이 이루어지는 한 형식이다.
- 듀이는 탐구(inquiry)를 진리나 지식이 아니라 논리의 핵심으로 삼는다.
- 그는 탐구를 이렇게 정의한다. “탐구는 미정의 상황을 원래 상황의 구성 요소들이 통일된 전체가 되도록 특징과 관계가 결정된 상황으로 변형시키는 통제된 과정이다”
- 그는 또 “탐구는 객관적 대상의 객관적 변형에 관계한다”고 덧붙인다.
- (러셀의 비판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