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기 로마가 야만인들에게 넘겨준 그리스도교는 세가지 요소로 구성됨
    • 철학에서 유래한 몇 가지 믿음으로, 주로 플라톤과 신플라톤 학파 철학자들에게서 비롯되지만 일부는 스토아 학파에서 유래함.
    • 유대인들에게서 유래한 도덕 개념과 역사 개념
    • 그리스도교의 새로운 특징이라 할 만한 몇 가지 이론 중 특히 구원 이론. 일부는 오르페우스교와 근동 지역의 유사한 이교 종파에서 유래한다.
  • 그리스도교 안에서 가장 중요한 유대교 요소
    • 신이 인간에게 행한 일들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성스러운 역사
    • 신이 특별히 사랑하는 소규모 인간 집단의 존재.
      • 이 집단이 유대인들에게는 신이 선택한 민족이고, 그리스도교에게는 신의 선민이었음.
    • 의로운(righteousness)이라는 새로운 개념
    • 율법
    • 구세주
    • 천국
  • 유대교는 바빌론 유수 시기를 전후해 획기적으로 발전함.
    • ‘나 이외의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
  • 바빌론 유수는 예언자들이 가한 공공연한 비난의 정당성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생각 됨.
    • 만약 야훼가 전능한 존재일 뿐만 아니라 유대인들이 신의 선택을 받은 민족이었다면, 유대인들이 당하는 고통은 그들의 사악함 탓으로 설명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 이는 부모가 자식을 타이르기 위해 벌을 주는 심리 상태와 유사한 것으로, 유대인들은 벌을 받음으로써 정화되어야 한다.
    • 이러한 믿음의 영향으로 유대인들은 바빌론 유수 시대를 살면서 독립된 나라에서 사는 동안 보편화 되었던 정통 신앙보다 훨씬 더 엄격하고 민족주의 관점에서 훨씬 더 배타적인 정통 신앙을 발전시켰다.
    • 바빌론으로 이주하지 않고 뒤에 남은 유대인들은 그런 발전을 경험하지 못했다.
  • 유대 민족과 다른 고대 민족을 구별하는 특징은 다른 민족들은 정복당하면 외면 뿐 아니라 내면으로도 복종했는데, 유대인들은 유독 민족적 탁월성을 믿고 계속 믿으며, 자신들이 겪는 불행이 신앙과 종교의식의 순수성을 잃은 탓에 신의 노여움을 샀다고 확신했다는 점.
  • 희생제물을 바칠 성전이 파괴되었던 탓에 제물을 바치는 의식은 유대 종교에서 사라질 수 밖에 없었음.
  • 안식일 강조, 할례 강조, 이방인과 혼인을 금지하는 배타성도 유수 기간에 생겨남.
  • 이 시기 유대인들 사이에 영혼 불멸을 믿는 경향이 널리 퍼짐.
    • 원래 덕은 지상의 삶 속에서 보답을 받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덕망 있고 고결한 자들이 박해를 당하자 이런 생각이 현실과 맞지 않는다는 점이 명백해짐.
    • 그러므로 신이 의로우심을 보증하려면 보상과 처벌이 내세에 이루어진다고 믿을 수 밖에 없었음.
  • 유대인들은 바빌론 유수 기간 동안 바빌로니아인들에게서 무역을 배움.
  • 정통 유대교는 예루살렘의 함락 이후 이전에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을 함락시킨 이후와 마찬가지로 점점 더 정통을 고집하며 편협해짐.
    • 중세 시대 내내 유대인들은 그리스도교 국가들의 문화 형성 과정에서 아무 역할도 하지 못했는데, 박해가 너무 심해 문명에 공헌할 기회가 없었고, 그들이 할 수 있는 일이란 성당 건축 사업에 자금을 대는 일이 전부였음.
    • 당시 이슬람교도들은 유대인들을 인간답게 대접한 유일한 사람들이었으며, 그들의 호의로 유대인들은 철학을 추구하고 사색을 펼치며 가르칠 수 있었음.
    • 중세 시대 내내 이슬람교도는 그리스도교보다 문명을 더욱 발전시켰을 뿐만 아니라 인간다운 면에서도 훨씬 훌륭했음.
    • 유대인들은 무어인이 지배하는 스페인에서 학문 발전에 공헌하기도 함.
    • 유대인들은 학식이 모자라는 스콜라 철학자들에게 풍부한 지식을 가르쳐 줌. 또 그들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한 지식, 예컨대 연금술과 점성술도 전해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