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 new ArrayList<>(); /*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쪽에 비즈니스 메서드가 있는게 가장 좋다. -> 그래야 응집력이 있기 때문이다. */ //=== 비즈니스 로직 ===// /** * sto"> categories = new ArrayList<>(); /*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쪽에 비즈니스 메서드가 있는게 가장 좋다. -> 그래야 응집력이 있기 때문이다. */ //=== 비즈니스 로직 ===// /** * sto"> categories = new ArrayList<>(); /*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쪽에 비즈니스 메서드가 있는게 가장 좋다. -> 그래야 응집력이 있기 때문이다. */ //=== 비즈니스 로직 ===// /** * sto">
package com.jpabook.jpashop.domain.item;
import com.jpabook.jpashop.domain.exception.NotEnoughStockException;
import jakarta.persistence.*;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Sett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Entity
//TODO:상속관계 매핑이기 떄문에 중요한 것을 해줘야한다.
//→ 무엇을? → 상속관계 전략을 지정해야 한다.이 전략을 부모 클래스에 잡아줘야한다.
//나는 싱글 테이블 전략을 쓰니까 골뱅이 ingeritance해서 Strategy 전략을 잡으면된다.
@Inheritance(strategy = InheritanceType.SINGLE_TABLE) //JOINED는 가장 정교한 스타일이고, SINGLE_TABLE는 다 때려박는 느낌.
@DiscriminatorColumn(name = "dtype")//book을 읽을때 book이면 어떻게 할거야 는 느낌.
@Getter @Setter
public abstract class Item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item_id")
private Long id;
//TODO: 상속관계 매핑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price;
private int stockQuantity;
@ManyToMany(mappedBy = "items")
private List<Category> categories = new ArrayList<>();
/*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쪽에 비즈니스 메서드가 있는게 가장 좋다. -> 그래야 응집력이 있기 때문이다.
*/
//=== 비즈니스 로직 ===//
/**
* stock 증가
*/
public void addStock(int quantity) {
this.stockQuantity += quantity;
}
/**
* stock 감소
*/
public void removeStock(int quantity) {
int restStock = this.stockQuantity - quantity;
if (restStock < 0) {
throw new NotEnoughStockException("need more stock");
}
this.stockQuantity = restStock;
}
}
package com.jpabook.jpashop.domain.exception;
public class NotEnoughStockException extends RuntimeException {
// 오버라이드를 때려박아줌 ->
// 왜 ?
// 메시지랑 플러스 이 예외가 발생한 어떤 그 근원적인 익셉션을 또 넣어서 이제 그 익셉션 트레이스가 쭉 나오게 할 수 있기떄문에 이것들이 다 필요함.
public NotEnoughStockException() {
super();
}
public NotEnoughStockException(String message) {
super(message);
}
public NotEnoughStockException(String message, Throwable cause) {
super(message, cause);
}
public NotEnoughStockException(Throwable cause) {
super(cause);
}
}
package com.jpabook.jpashop.service;
import com.jpabook.jpashop.domain.item.Item;
import com.jpabook.jpashop.repository.ItemRepository;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java.util.List;
@Service
@Transactional(readOnly = true)
@RequiredArgsConstructor
// 상품 서비스는 이 상품 리포지토리에 단순하게 위임만 하는 클래스라서 단순하게 끝이난다.
// 단순하게 위임만하는 클래스에 대해서 정말 구현해야할까 라는 고민을 해볼 필요가 있다.
// 그래서 컨트롤해서 아이템 리포지토리에 바로 접근해서 이렇게 써도 크게 문제가 없긴 하다.
public class ItemService {
private final 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Transactional
public void savedItem(Item item) {
itemRepository.save(item);
}
/**
* 변경 감지 기능 사용
* merge는 위험하기 때문에 조금 더 귀찮더라도 해당 기능을 사용해야 한다.
*/
/*@Transactional
public Item updateItem(Long itemId, Book param) {
Item findItem = itemRepository.findOne(itemId);
findItem.setPrice(param.getPrice());
findItem.setName(param.getName());
findItem.setStockQuantity(param.getStockQuantity());
return findItem;
}*/
@Transactional
public void updateItem(Long itemId, String name, int price, int stockQuantity) {
Item findItem = itemRepository.findOne(itemId);
findItem.setName(name);
findItem.setPrice(price);
findItem.setStockQuantity(stockQuantity);
}
public List<Item> findItems() {
return itemRepository.findAll();
}
public Item findOne(Long itemId) {
return itemRepository.findOne(itemI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