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 톰캣 서버 생성 사이클

Untitled

—> 위 그림은 꼭 숙지. —>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자면, 웹 브라우저에서 request 와 response를 해준다면, 웹 애플리케이션의 서버에서 반응하여, 톰캣이 서블릿 컨테이너를 만들어서,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반응을 하여 적절히 반응해준다. 이

해당 http 요청이 시작부터 끝날 때까지 유지되는 임시 저장소 기능

HttpServletReqeust , HttpServletResponse —> HTTP 요청 및 응답 메시지를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도와주는 객체

HttpServletRequest

HTTP 요청 메시지를 개발자가 직접 파싱 해서 사용해도 되지만, 매우 불편할 것이다. 서블릿은 개발자가 HTTP 요청 메시지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자 대신에 HTTP 요청 메시지를 파싱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HttpServletRequest 객체에 담아서 제공한다.

—> HttpServletRequest 객체는 여러가지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 이를 이해하기 위해선, HTTP를 학습해야 한다. —> 그래야, 깊이있게 공부하는 것이 가능함

Http 요청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