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은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11세기에 처음으로 급속한 진보를 이룸.
    • 이러한 진보는 수도원 개혁과 더불어 시작되었으며, 그 다음 교황 체제와 교회 조직으로 확대 되었다.
    • 11세기가 막을 내릴 무렵 최초의 스콜라 철학자들이 배출 되었다.
    • 교육 수준은 성직자 계급에서 많이 높아졌고, 세속 귀족 계급에서도 상당한 수준까지 높아졌다.
  • 초기 단계의 개혁 운동은 주창자들의 정신 속에 자리 잡았다가 도덕적 동기에 의해 현실로 나타남.
    • 성직자들의 부패와 타락 때문에 사람들은 성직자들이 그들의 원칙에 더 적합한 생활을 하도록 하는 일에 착후함.
    • 여기는 또 다른 동기가 있었는데, 성직자와 속인을 완전히 분리함으로써 성직자 계급의 힘을 키우는 것.
    • 교회 개혁의 승리가 곧바로 황제와 교황의 권력 투쟁으로 이어진 사태는 당연한 귀결이었음.
  • (이하 성직자의 부패, 교황과 황제의 대립 등에 대한 내용 생략)
  • 성 안셀무스는 신의 존재에 대한 ‘존재론적 증명’ 제창자로 유명함
    • 안셀무스는 ‘신’을 생각할 수 있는 가장 큰 대상으로 정의하고 어떤 사유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것과 꼭 같으면서 존재하는 다른 사유 대상이 더 큰 대상이 되므로 사유의 모든 대상들 가운데 가장 큰 대상이 존재해야 하는 까닭은 그렇지 않으면 더 큰 대상이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 그렇기 떄문에 신은 존재한다고 주장함.
    • 신학자들은 안셀무스의 논증을 수용하지 않았고, 토마스 아퀴나스는 안셀무스의 논증을 거부함.
  • 안셀무스는 플라톤 철학의 많은 요소를 습득했는데, 플라톤의 이상들이 존재한다고 믿고, 여기에서 또 다른 신 존재 증명을 도출해 냄.
    • 신플라톤 학파의 논증들에 따라 그는 신의 존재 뿐만 아니라 삼위일체도 입증하겠다고 선언함.
    • 안셀무스는 이성이 신앙에 종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함. 그는 ‘나는 이해하기 위해 믿는다’라고 말함.
    • 또한 아우구스티누스를 추종하여 신앙이 없이는 이해도 불가능하다고 주장.
    • 신은 의로운 존재가 아니라 의로움 자체라고 말함.
  • 안셀무스는 선대 그리스도교 철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아리스토텔레스보다 플라톤의 전통에 속함.
    • 때문에 그는 토마스 아퀴나스에서 절정에 달한 ‘스콜라’ 철학의 뚜렷한 특징을 드러내지 않음.
  • 중세의 플라톤 사상은 현대의 연구자가 플라톤의 저술에서 도출한 사상과 여러 면에서 달랐음.
    • 중세 시대 플라톤 사상은 종교와 명백한 관련이 없는 거의 모든 요소를 누락하는데 그치지 않고, 종교철학 내에서는 다른 요소를 희생시키고 특정한 측면을 확대하거나 강조했음.
    • 이렇게 플라톤 사상 체계에 일어난 변화는 이미 플로티노스에 의해 나타남.
  • 아리스토테렐스에 대해서도 단편적으로 알려졌으나, 정반대 방향으로 변화가 일어남.
    • 12세기까지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해 알려진 것이라고는 보이티우스가 번역한 <범주론>과 <명제론>이 전부였음.
    •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저 변론가로 생각되었던 반면, 플라톤은 종교철학자이자 이상 이론의 창시자로 여겨짐.
    • 중세 후반기에 접어들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 체계에 대한 편견은 차츰 바로 잡혔으나 플라톤에 대한 생각은 르네상스 시대까지 변하지 않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