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의 구조 / YTN 사이언스
- 그물형성체(망상체, reticular formation)
- 뇌간과 시상을 연결. 정보를 취사선태개 대뇌피질로 보내는 기능을 한다
- 교뇌가로섬유(transverse pontine fiber)
- 인간과 동물 운동의 가장 큰 차이는 융통성
- 동물의 개별적 감각은 인간보다 뛰어나지만, 감각을 통합하여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은 인간보다 못하다
- 뇌 구조에서도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 섬유보다 운동을 담당하는 교뇌가로섬유가 훨씬 두텁게 형성되어 있다.
- 융통성 있는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개별적 사지 말단 운동이다. 개별적 사지 말단 운동의 대표적인 예가 손가락 운동.
- 그물형성체는 대뇌피질과 시상의 활성도를 조절한다
- 꼬리 쪽 교뇌와 연수에 위치한 그물형성체는 체성운동과 내장운동을 관장한다.
- 체성운동의 종류
- 구강안면반사(기침, 하품, 딸꾹질, 삼킴, 저작 등)
- 척수에서 뇌까지의 경로
- 척수 -> 연수 -> 교뇌 -> 중뇌 -> 대뇌
- 척수가 가진 기본 형식은 지켜지고 기능은 분산되었다.
- 그물형성체의 역할을 뇌간과 시상을 연결하고, 내장운동과 체성운동을 조율하는 것
- 체성운동 – 구강안면반사
- 내장운동 – 미주신경이 관장하는 내장기관의 운동 정도
- 혹스 유전자(Hox gene)
- 진화적 기원을 공유한다고 생각되는 유전자군. 동물의 체형 형성에 관여한다.
- 동물의 본질은 움직임에 있다. 움직일 필요가 없는 순간, 시스템이 사라진다.
- 움직임이 없어진게 식물
- 그래서 식물에는 신경시스템이 없음.
- 고로 움직임과 신경시스템은 항상 함께 존재한다.
- 혈관, 근육, 신경은 모두 함께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