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한글'은 함수형 난해한 언어이다. 당연히 함수를 만들고 호출하는 방법이 마련되어 있다.
TMI: 함수에 대하여
'평범한 한글'이 계산을 하고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이유는 함수가 있기 때문이다.
함수를 부를 때는 [인수 0], [인수 1]...[인수 n][함수] ㅎ[인수의 갯수]
형태를 사용한다.
ㄷ
을 사용한다. ('더하기'라고 외우면 편하다.)0 + 0
을 평범한 한글로 계산해보자.ㄱ ㄱ ㄷ ㅎㄷ
<aside> ▶️ 0
</aside>
ㄱ ㄱ
은 함수에 전달되는 인수이다. 정수 리터렬 0
을 두 번 쓴 것.ㄷ
은 더하기를 수행하는 기본 제공 함수이다.ㅎㄷ
는 두 개의 인수(ㄷ
)를 갖는 함수(여기서는 ㅎㄷ
앞의 ㄷ
함수)를 호출(ㅎ
)하는 단어이다.ㄱ ㄱ ㄷ ㅎㄷ
를 굳이 다른 언어의 함수 호출로 바꾸면 ㄷ(ㄱ, ㄱ)
과 같은 느낌이랄까? ㄴ ㄴ ㄷ ㅎㄷ
<aside> ▶️ 2
</aside>
ㄷ
함수에 ㄴ
ㄴ
이라는 두 개의 인수를 전달해서 더하기를 실행한다.
1 + 1 의 결과는 당연히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