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wvvs7S9On0w
https://www.youtube.com/watch?v=9mcnKbCbchk
가설 설정
유의수준 확인
귀무가설이 실제로 옳아도 기각할 오류(5%가 보통)
정규성 검정
정규성 여부에 따라 정규성이 있으면 단일표본 t1sample t-test
, 없으면 윌콕슨 부호순위
를 쓰는데 보통 문제에서 지정해주기 때문에 정규성 검정이 사실상 필요없다.
검성실시(통계량, p-value 확인)
p-value(유의확률)랑 유의수준이랑 비교해서 기각여부 결정
귀무가설 기각여부 결정(채택/기각)
귀무가설: 돌려보낼 귀, 없을 무 “없던 것으로 돌려보내다” - 가치가 없는 가설
~가 같다.
가설 : 두 집단간의 관계가 있다/없다 귀무가설 : 대립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가설 대립가설 :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고 싶은 가설
검정통계량 = 주어진 데이터와 귀무가설 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나타내는 값
기각역 : 검정통계량(평균)이 갖는 분포에서 유의수준 𝛂가 차지하는 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