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군산, 나의 회관 일지 #1]

중학생 소녀의 첫 공연,

강양오 선생님


1996년, ‘피아니스트를 꿈꾸던 중학생’ 강양오의 공연 당시 모습 ⓒ 강양오

1996년, ‘피아니스트를 꿈꾸던 중학생’ 강양오의 공연 당시 모습 ⓒ 강양오

시민문화회관을 지날 때 아이들한테 얼마나 자랑했는지 몰라요. 어릴 때 이곳에서 빨간 드레스를 입고 무대에 올랐다는 얘기를요.

커다란 무대, 깜깜한 커튼 뒤, 두근대는 심장 소리, 빨간 드레스를 입고 자신의 순서를 기다리는 한 소녀. 1996년 영광여자중학교에 다니던 강양오 씨는 인생 첫 무대를 준비하고 있다. 곧 커튼이 열리면 멋지게 인사를 한 뒤 커다란 그랜드 피아노에 앉아 노랫소리에 맞춰 건반을 쳐야 한다.

군산에서 나고 자란 그는 6살 때부터 피아노를 배우며 피아니스트가 꿈인 중학생으로 성장했다. 1996년 봄, 음악 선생님의 권유로 전교 음악부장을 맡으며 정기음악회를 준비했다. 무대는 시민문화회관의 공연장이었다.

어린 저에게는 굉장히 크고 멋진 건물이었죠. 무엇보다 이 무대에 서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일까 하고 궁금했던 기억이 나요. 초등학생 때는 완전히 다른 세계의 공간처럼 느껴졌죠. 동네 쉼터, 만남의 장소, 본관의 왼편에 동그란 돌담 계단이 있는 곳은 춤추고 노래하는 사람들의 아지트가 되어주기도 했어요

매년 열리는 중학교 정기 음악회를 위해 6개월 넘게 방과 후 학교에 남아 건반을 치고, 노래를 불렀다. 커다란 무대에 오르는 건 생각으로도 떨리는 일이었고, 잘하고 싶은 욕심마저 있던 중학생 소녀는 매일 교실에 남아 연습했다. 그가 음악회에서 연주했던 건 두 곡이었다. ‘그리운 금강산’과 멘델스존의 ‘노래의 날개 위에’. 6분 남짓한 시간을 위해 6개월 넘게 연습했지만 아깝지 않았다. 처음 큰 무대에 오르는 경험을 얻기 위함이었다. 그에게는 30년 가까이 지났음에도 특별하고 오래 기억 남을 무대였다.

공연 후 친구에게 꽃다발을 받고 있다. ⓒ 강양오

공연 후 친구에게 꽃다발을 받고 있다. ⓒ 강양오

저에게는 지금도 잊을 수 없는 기억이에요. 제가 다녔던 중학교는 합창부가 유명했었는데 저는 제2회 정기음악회에 오르게 되었죠. 리허설할 때 동선을 맞추고, 깜깜한 커튼 사이로 순서를 대기하고, 긴장하며 드레스를 갈아입을 때의 텁텁했던 공기가 생각나요. 분주한 발걸음과 무대에 등장했을 때의 박수 소리까지 전부 기억에 남아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