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한글은 1443년 조선의 4대 국왕 이도에 의해 창제되었다. 한편 한글 ‘서체’의 탄생과 발전을 들여다보면 그 중심에 여성이 있다.

</aside>

조선시대 사대부 남성과 식자층은, 한글보다 상위의 문자로 여긴 한자 위주의 문필생활을 이어갔다. 반면 여성과 어린이, 평민층 사이에서 한글이 활발히 통용되었고 특히, 궁 안의 내명부 여성들이 주고받는 문서와 편지에 붓글씨로 한글을 공들여 적으면서 글꼴의 형태적, 조형적 틀을 닦았는데 그것이 바로 **‘궁체’**다.

장서각 궁체 중 하나인 위씨오세삼난현행녹 일부

장서각 궁체 중 하나인 위씨오세삼난현행녹 일부

‘궁체’는 오늘날 디지털 폰트의 ‘궁서체’로 복원되었고, 붓으로 쓴 한글 글씨의 이 양식은 명조체 폰트의 바탕이 되어 우리 일상 속 깊은 곳에 흘러들어오게 되었다.1)

  1. 유지원 «글자풍경» 159p.

오늘날에는 디지털 폰트가 일상생활 속에 자리 잡으면서 한글 서체의 활용과 공공성이 극대화됐다. 그리고 여성 디자이너들은 여전히 한글 생태계의 중심에서 다양한 개성의 뛰어난 폰트를 제작하며 우리를 둘러싼 글자 환경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완성도와 활용도가 높은 폰트 중, 여성의 손으로 다듬고 만든 한글 폰트를 추천한다.

<aside> 🖌️ 본 편에 속한 폰트들은 궁체를 형태적 근간으로 두고 디지털 활자체의 성격으로 다듬어진 ‘바탕’ 계열의 폰트들이다. 바탕 계열의 폰트는 붓으로 쓴 형태적 특징이 이어져 글꼴의 끝으로 갈수록 뾰족해지고 부리가 살아있는 것이 특징이다. 흔히 ‘명조'라고 더 많이 불리는데 단어의 기원이 일본식 표현이 이어진 것이라 우리말로 순화한 것이 ‘바탕'이다. 끝에 뾰족한 부리가 있어 ‘부리 계열', 영어식 표현으로는 ‘serif’ 폰트라고 한다. 손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형태에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편안하고 안정적이며 오랜 기간 긴 글로 읽었을 때 눈에 피로감이 적어 단행본의 본문에 주로 사용된다.

</aside>

폰트 디자인이 시간에 따라 발전하고, 2010년대 후반부터 여러 독립 폰트디자이너들이 활약하면서, 궁체에 기반을 둔 전통적인 바탕 계열 폰트에서 점점 다양하고 개성적인 형태의 폰트로 분화하는 흐름도 찾아 볼 수 있었다. 본문용 바탕 계열 폰트의 경우, 고딕계열보다 상대적으로 글꼴 표정 선택의 폭이 좁다는 아쉬움이 제기되어 왔는데, 이를 극복하는 것에 목적을 둔 폰트들도 있다.

본 글에서는 가장 고전적이고 무표정한 바탕 폰트에서 출발해 점점 캐릭터가 있고 독특한 시도로 제작된 폰트로 순서를 나열해보았으며, 각 폰트의 간략한 특징과 함께 실제 여성이 만든 폰트가 어떻게 쓰였는지 여성 디자이너의 작업에서 찾아 그 활용 사례를 함께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