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기기 별로 이슈 시점의 전주 대비 증감율을 확인해보면, 기존 분석대로 폰이 큰 폭으로 감소했으나(16.5%) 태블릿 또한 30.8%의 감소를 보임. 전체 감소량 대비 기기별 감소량을 추정해보니 폰 67, 태블릿 53으로 태블릿의 감소량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판단 → 폰과 태블릿이 공통 하락한 원인이 있을지 확인 필요(기존 분석이 제시한대로 모바일 앱의 이슈가 태블릿에도 공통 적용될 수 있음) → 만약 폰 단독의 원인이 있다면, 태블릿도 별도의 감소 원인이 있을지 파악해 볼 필요 있음 ex. 모바일 앱 UI가 폰 사이즈에만 최적화되어 있어 태블릿에서 이용 불편

</aside>

https://s3-us-west-2.amazonaws.com/secure.notion-static.com/0c86b6a9-03fd-4562-b1bf-77feacd515f3/_2020-08-21_08.12.39.png

기존 분석 검토

https://s3-us-west-2.amazonaws.com/secure.notion-static.com/166723b0-1962-45c9-a8c9-a17b1988db05/Untitled.png

engagement_by_device_type-query_분석.csv

문제제기

동료의 분석은 이런 부분을 놓쳤는데...

  1. 기존 분석은 폰 active 하락만을 근거로 모바일 앱에 이슈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지만, 태블릿의 active 하락 또한 유의미한 수준이기 때문에 모바일 앱의 이슈는 태블릿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되었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2. 모바일 앱의 이슈가 폰 active 하락에만 영향을 미쳤다면 태블릿도 별도의 감소 원인을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ex. 모바일 앱 UI가 폰 사이즈에만 최적화되어 있어 태블릿에서 이용 불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