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코드를 보면 핸들러의 이름을 "/springmvc/old-controller"로 설정하고 ModelAndView를 “new-form”의 상대경로로 반환하고 있다.
@Component("/springmvc/old-controller")
public class OldController implements Controller {
	@Override
	public ModelAndView handleReques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Exception 
		{
				System.out.println("OldController.handleRequest");
				return new ModelAndView("new-form");
		}
}
자바에서는 절대 경로를 지정해주는 뷰 리졸버의 기능을 application.properties로 prefix와 suffix를 설정해 줄 수 있다!
spring.mvc.view.prefix=/WEB-INF/views/
spring.mvc.view.suffix=.jsp
이렇게 되면 ModelAndView를 반환할때 스프링의 prefix와 suffix를 적용시켜 /WEB-INF/views/new-form.jsp로 가게된다!
아래 그림보면 뷰리졸버도 크게 두개의 인터페이스 구현체가 있는데 위의 코드에서는 스프링 빈으로 등록된 뷰가 없기애 2번 구현체가 쓰였다.

요래서 Thymeleaf 뷰 의존성 추가하면 간단하게 쓸 수 있었던 거구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