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 문제 우선순위 파악

image.png

📉 Impact vs. Effort Matrix 활용

image.png

image.png

📌 따라서 문제에 대한 우선 순위는 아래와 같이 정렬할 수 있었다.

1️⃣ 복사 기능을 사용해야 하는 부분에 복사 기능이 없어 유저들이 불편해 한다. (8점)

2️⃣ 쿠폰 안내가 충분하지 않고 사용이 복잡해 유저들이 불편해 한다. (7점)

3️⃣ 무료 배송 기준이 불분명해 유저들이 배송비를 내는 경우가 발생한다. (6점)

4️⃣ 상품 가격 비교 기능이 없어 어떤 상품이 더 좋은지 판단하기 힘들기에 유저들이 상품 구매에 어려움을 겪는다. (5점)

5️⃣ 선명한 원색 계열의 정보들이 시각적 스트레스를 유발해 유저들이 피로감을 느낀다. (4점)

</aside>

<aside> 🔗

📌 핵심 문제 정의

“ 내가 정의한 핵심 문제를 개선하면 어떤 지표에 영향을 미칠까?

문제 우선순위를 파악하며 ‘복사 기능을 사용해야 하는 부분에 복사 기능이 없어 유저들이 불편해 한다’ 는 핵심 문제를 발견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할 문제임을 정의했다.

그렇다면 어떤 지표에 영향을 미치고 개선이 될 지 파악해보았다.

현재 부정적 리뷰 키워드의 38%가 **‘복사’**임을 이전에 파악했다.

설정한 핵심 문제를 개선한다면 복사 관련 부정적 리뷰가 줄어들 것이고, 자연스레 전체 VoC의 부정적인 리뷰 비율도 감소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다른 리뷰 데이터들을 조회해본 결과,

image.png

image.png

위와 같이 복사 기능의 부재가 배송 / 가격 비교 관련 부분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따라서 복사 문제 개선은 곧 전체 서비스의 전반적인 개선 작업이 될 수 있으며,

서비스의 만족도 증가 및 신뢰도 상승, 전체 VoC의 부정적인 리뷰 비율 감소에 더 나아가 전체 서비스의 장기 이탈률 감소까지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