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Controller 클래스와 View를 구현한다.

이후 이 실행 절차에 대해서 살펴본다.

프로젝트 생성

  1. application.properties 수정
server.port=8088

Spring Boot의 설정 파일

  1. DTO 클래스 생성
package net.skhu.dto;
public class Product { 
	String name; 
	int unitCost; 
public Product(String name, int unitCost) {
 this.name = name;
 this.unitCost = unitCost;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int getUnitCost() {
   return unitCost;
 }
  public void setUnitCost(int unitCost) {
   this.unitCost = unitCost;
  }
 }
  1. Controller 클래스 생성
package net.skhu.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import net.skhu.dto.Product;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first")
public class FirstController{

	@GetMapping("test1")
	public String test1(){
			return "안녕하세요";
	}
	@GetMapping("test2") 
	public String[] test2() {
			return new String[] { "월", "화", "수", "목", "금", "토", "일" };
	}
	@GetMapping("test3") 
	public Product test3() { 
			return new Product("맥주", 2000); 
	} 
	@GetMapping("test4") 
	public Product[] test4() { 
			return new Product[] { new Product("맥주", 2000), new Product("우유", 1500) 
	}; 
} 
}
		

Controller 클래스는 웹브라우저의 URL 요청을 받아서, 웹 서버에서 실행되는 클래스이다.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어떤 URL을 요청을 하면, 그 URL에 해당하는 컨트롤러의 액션 메소드가 자동으로 호출되어 실행된다.

컨트롤러의 클래스에는 어노테이션(@RestController, @controller)이 붙어있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