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2 IPs
- EC2 인스턴스는 기본적으로 시작하고 종료할 때마다 Public IP가 바뀜.
- 고정 Public IP가 필요하면, Elastic IP를 사용
- Elastic IP는 붙어 있는 인스턴스가 죽는다고 하더라도, 다른 인스턴스로 빠르게 붙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Account별로 5개의 Elastic IP를 가질 수 있음.
- Elastic IP를 쓰는 것보다는, 랜덤한 Public IP를 쓰고 여기에 DNS 이름을 붙이는 게 더 실용적
- 아니면 로드 밸런서 사용해서, 아예 Public IP의 필요를 없애기
Placement Groups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6447086/aws-ec2-placement-groups-partition-vs-spread
- 인스턴스들이 어떻게 물리적으로 배치하고 있는지 규칙을 정의함. 세 가지 전략:
- Cluster: 하나의 Availability zone 안에서, 낮은 레이턴시로 인스턴스들이 묶여 있음.
- 장점: Great network(low latency, high throughput network)
- 단점: AZ가 fail되면, 모든 인스턴스가 fail
- Spread: 각 AZ마다 최대 7개의 인스턴스씩, 퍼뜨리기 (모든 인스턴스가 각기 다른 하드웨어에 존재)
- 장점: failure risk를 최소화.
- 단점: Placement group마다, 각 AZ별 최대 7개의 인스턴스만 배치할 수 있음.
- Partition: 각 AZ별로 여러 개의 Partition(AZ별 7개)이 존재, 그 Partition 안에는 인스턴스가 N개 배치할 수 있음. (Use case: Hadoop, Kafka 등 빅데이터 어플리케이션…)
- EC2 인스턴스 생성 시, Advanced detail에서 Placement group name을 설정할 수 있음.
Elastic Network Interfaces (ENI)
- EC2 인스턴스에게 network connectivity를 제공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