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gile | Scrum 관련 강사님’s 노션 자료
https://github.com/orgs/ssg-java3-240304/projects/27
→ 깃허브 work flow 및 형상관리 demo
https://github.com/orgs/ssg-java3-240304/discussions/7
→ 깃허브 주간별 계획수립 가이드 (강사님 요구사항, 팀 요구사항)
기획
설계
구현
테스트
유지보수
개발 프로세스 : Agile Model
<aside> 💡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개발이 특징이며, 고객 요구의 신속한 피드백이 강점이다
</aside>
구체적 방법론 중 스크럼 기반으로 진행
용어 | 설명 |
---|---|
스프린트(Sprint) | 스크럼에서 사용되는 일정 기간(보통 1~4주) |
제품 백로그(Product Backlog) | 제품의 모든 요구사항을 우선순위에 따라 정리한 목록 |
⇒ issues |
|
스프린트 백로그(Sprint Backlog) | 해당 스프린트에서 완료해야 할 작업을 우선순위에 따라 정리한 목록 |
⇒ milestone(kanban, [backlog, ready, inprogress, in review, additional work, done]) 이슈에 지정 |
|
스크럼 마스터(Scrum Master) | 스크럼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팀이 스크럼의 원칙을 따르도록 지원하는 역할 |
프로덕트 오너(Product Owner) | 제품 개발 프로젝트에서 고객 또는 사용자와의 의사소통을 중개하고 제품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역할 |
개발팀(Development Team) | 제품을 개발하는 역할을 하는 팀 |
스프린트 계획 회의(Sprint Planning Meeting) | 스프린트를 진행하기 전, 해당 스프린트에서 완료해야 할 작업을 선정하는 회의 |
데일리 스크럼 회의(Daily Scrum Meeting) | 매일 진행되는 짧은 회의로, 진행 상황과 문제를 공유함 |
스프린트 리뷰 미팅(Sprint Review Meeting) | 해당 스프린트에서 개발한 제품의 작동 여부를 검증하는 회의 |
스프린트 회고 미팅(Sprint Retrospective Meeting) | 해당 스프린트에서 진행한 프로세스와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점을 도출하는 회의 |
스크럼 이벤트(Scrum events) | 스크럼 프로세스에서 일어나는 이벤트로서 스프린트 계획 회의, 데일리 스크럼 회의, 스프린트 리뷰 미팅, 스프린트 회고 미팅 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