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R (Server Side Rendering)은 보통 CSR (Client Side Rendering)과 대조적인 개념으로 다뤄진다.
화면에 보여지는 HTML Dom Element 부분을 서버에서 사전에 작성하여 화면에 그리는지, 혹은 클라이언트에서 이미 작성된 static html 혹은 javascript를 통해 그리는지에 대한 차이로 나뉜다.
기존 검색엔진 최적화와 관련된 부분은 CSR보다 SSR이 더 나은 성능을 보였다. (단, HTML로 이루어진 정적 페이지의 경우는 CSR이 더 높은 성능을 보인다.)
검색 엔진이라 함은 HTML 크롤링을 통해 일치하는 document가 있으면 보여주는 방식인데, CSR형식은 javascript를 실행하지 않으면 크롤링 가능한 HTML은 root element 하나 뿐이었기에 검색 엔진 최적화와 관련되서 부적합했다. (정확히는 SPA에 대한 설명이다.)
하지만, 최근 구글은 검색엔진에도 javascript엔진을 도입하여 CSR로 만든 페이지 역시 크롤링이 가능하도록 개선했고, CSR로 만들어진 페이지도 검색엔진을 통해 검색이 될 수 있게 개선했다.
백엔드의 영역과 프론트의 영역을 완전 분리 시켰다는 데 차이가 있다.
특히, SSR서버를 도입하면서 기존 백엔드의 SSR과 SPA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
SSR페이지와 CSR페이지를 모두 노출시켜 사용자의 지연시간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된다.
서버사이드 렌더링의 장점이 무엇일까
가장 큰 장점은 초기 로딩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