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초기 추천 시스템 설계 시, 우리는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추천 경매(Auction)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추천 방식들을 비교 ex( 협업 필터링, 콘텐츠 기반 추천, 엘라스틱 서치 기반 )
그중에서도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이나 콘텐츠 기반 추천(Content-Based Filtering) 등의 복잡한 알고리즘 대신,
간단하면서도 충분한 개인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Rule-Based 방식을 선택
📌 작성 주제 예시:
"S3 + CloudFront 기반 이미지 저장소 도입 배경과 아키텍처"
</aside>
<aside> 📌
선택지 | 설명 | 선택하지 않은 이유 | 최종 채택 여부 |
---|---|---|---|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 | 사용자 간 유사도를 기반으로 유사 행동을 추천 | - 사용자 수 부족, 콜드스타트 발생 |
항목 | 설명 |
---|---|
사용자 그룹화 가능 | 회원가입 시 성별, 나이대, 지역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적인 Group 생성 가능 |
동작 방식이 직관적 | 각 Group이 어떤 Auction을 선호하는지, 어떤 태그를 선호하는지 쉽게 파악 가능 |
점수 로직 설계가 간단 | 찜 = 1점, 입찰 = 2점 등 명시적인 가중치 부여로 선호도를 수치화할 수 있음 |
데이터 sparsity 적음 | Group 단위 집계로 인해 희소한 개인 데이터도 보완 가능 |
성능 최적화 용이 | 이후 캐싱 및 Redis 기반 저장 구조등으로 고도화에도 적합 |
<aside> ⚠️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