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img src="notion://custom_emoji/b602c9b4-c478-4904-8b80-95c0ecff1e9f/1f90aba3-9a4b-8016-bd50-007a090b955c" alt="notion://custom_emoji/b602c9b4-c478-4904-8b80-95c0ecff1e9f/1f90aba3-9a4b-8016-bd50-007a090b955c" width="40px" />

함수

<aside>

내장 함수(built -in function)

print("Hello, world!")    # 문자열을 출력
len("apple")              # 문자열이나 리스트의 길이를 구함
type(42)                  # 자료형 확인
sum([1, 2, 3])            # 합계 계산

<aside>

사용자 정의 함수(user define function)

def greet(name):
    return f"Hello, {name}!"

print(greet("Minjae"))   # 결과: Hello, Minjae!

<aside>

함수(function) 구성 요소


def 함수이름(입력값1, 입력값2): -- 1. 이름과 입력값
      코드들  -- 2. 할 일(코드 블록)
      return 결과값  -- 3. 출력값(결과를 돌려줌)
      
      
구성 요소 설명
def "함수를 만들겠다"는 뜻의 키워드
함수이름 내가 정하는 이름 (ex. add_numbers)
(입력값) 함수에 넣을 값, 즉 재료임 (파라미터, 매개변수라고도 함)
코드블록 함수가 실제로 무엇을 할지 적는 곳
return 결과를 밖으로 전달해주는 역할
</aside>

<aside>

🧠 핵심 차이: return vs print

아래 그림의 상황을 파이썬 코드로 작성하기

구분 return print
목적 값을 함수 바깥으로 넘김 값을 화면에 보여줌(출력)
함수 종료 즉시 함수를 끝냄 끝내지 않음
결과 저장 변수에 저장 가능 저장 안 됨 (출력만 함)
사용 장소 함수 결과를 계산하거나 재사용할 때 단순히 결과 확인할 때

x = add(2, 2)     # x에 4가 저장됨
print(x)          # → 4 출력
y = add2(3, 3)    # 화면에는 6이 찍힘
print(y)          # → None 출력

</aside>

<aside> <img src="notion://custom_emoji/b602c9b4-c478-4904-8b80-95c0ecff1e9f/1f90aba3-9a4b-8016-bd50-007a090b955c" alt="notion://custom_emoji/b602c9b4-c478-4904-8b80-95c0ecff1e9f/1f90aba3-9a4b-8016-bd50-007a090b955c" width="40px" />

함수 추가 정보

<aside>

파라미터가 없는 함수

def say():
	return 'Hi' 

</aside>

<aside>

여러 개의 값 return 하기

def add3(a, b):
  result = a+b
  return result, result**2

add3(3, 4)  # 출력값: (7, 49)

<aside>

</aside>

<aside>

</aside>

</aside>

<aside> ✅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