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여러가자 핸들러(컨트롤러)~ , 핸들러매핑~, 핸들러어답터~ 들을 배웠는데 스프링이 종지부를 찍었다! 그건 바로바로~~ @RequestMapping 컨트롤러 이다!
결국 @RequestMapping이 가장 기능이 간편하고 좋은 컨트롤러가 되면서 위의 두개의 RequestMappingHandlerMapping와 RequestMappingHandlerAdapter 구현체가 우선순위 0순위가 되었다! 실무에서는 99.9%가 이 컨트롤러를 사용한다!
@Controller
public class SpringMemberFormControllerV1 {
	@RequestMapping("/springmvc/v1/members/new-form")
	public ModelAndView process() {
			return new ModelAndView("new-form");
	}
}
위의 코드를 보면 여태까지 @Controller는 안에 @Componet가 들어있어서 컴포넌트 스캔의 대상이 되어 빈 등록이 자동으로 되는거까지만 알고 있었는데!! RequestMappingHandlerMapping은 스프링 빈 중에서 @RequestMapping 또는 @Controller가 클래스 레벨에 붙어있는 경우 매핑정보로 인식하기 때문에!! 즉 RequestMappingHandlerMapping 구현체를 쓸 수 있게 해주는 역할까지 있다!!
즉 @Controller를 클래스의 붙히면 → 이 클래스는 스프링 MVC 요청 대상(핸들러)라는 것. →
@RequestMapping 가 붙은 매서드를 RequestMappingHandlerMapping가 찾아준다! →
RequestMappingHandlerAdapter가 해당 핸들러 매서드를 실행한다!
아래 지피티가 예시 줬는데 직관적으로 잘 설명되어있으니 보고 이해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