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vvvvvvvvvvvvvvvvvvvvvv
자동 스크립트 만들었어용
sudo -i 혹은 sudo su 를 사용하여 su 모드로 작업할 수 있다
이더넷 환경에서 작업하는 경우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만 하면 되지만, 우리 팀의 환경에서는 충분한 개수의 이더넷 포트가 없었기 때문에 동시 작업을 위해 무선망으로 연결하였다
데스크탑으로 설치하였을 경우
로그인 후, 와이파이에 연결한다
서버로 설치하였을 경우
# 각 라즈베리 파이에서 /etc/netplan/##-$#!@#.yaml
network:
version: 2
renderer: networkd
ethernets:
# eth0는 그대로 놔둡니다
wifis:
wlan0:
dhcp4: true
optional: true
access-points:
"<ESSID이름>":
password: "<와이파이비밀번호>"
$ sudo netplan apply
$ ip addr
ssh는 라즈베리파이에서의 작업은 물론, 이후 하둡 클러스터 연결에도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