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이제 본격적인 Next.js 프로젝트 시작! 두근두근 💗 기초 셋팅은 정말 중요하다. 말해 뭐해..!
</aside>
Next.js
: 리액트 기반의 프레임 워크**공식문서를 잘 활용하자! h**ttps://nextjs.org/
Next.js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할때, 자동으로 모든걸 셋업해주는 가장 빠른 방법인 명령어 입력
// 가장 최신버젼 설치
npx create-next-app@latest
// 원하는 버젼으로
npx create-next-app@15.2.7
// 현재 디렉토리에서 바로 생성 -> 뒤에 ./를 붙여준다
npx create-next-app@latest ./
그럼 이렇게 아래와 같이 yes/no 질문이 나오고, 내가 원하는 환경에 맞게 셋팅해주면 된다
* 타입스크립트 사용할거니?
* ESLint는?
* Tailwind CSS는?
* 'src/' directory 사용할거야?
* App router 사용할거야? (추천할게)
* (next dev를 위한) 터보팩은?
* Next.js에 새롭게 도입된 초고속 번들러. 코드를 수정했을때 변경사항을 빠르게 반영해준다.
기존 웹팩보다 더 빠른 환경을 제공.
웹팩은 소스의 크기가 커지면 엄청 느린데, 터보팩을 사용하면 소스가 커져도 빠르게 확인 가능!
* import alias 커스터마이징하는건? 아님 요거 @/* 디폴트 사용할거임?
package.json을 참고하여 개발 서버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해준다
npm run dev
Next.js는 기본적으로 타입스트립트를 지원한다
타입스크립트 관련 플러그인을 설치해보자
코드를 더 안정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확장 프로그램 입력창에 next.js typescript 검색
Always-on Next.js TypeScript Plugin 설치
플러그인에서 사용할 타입스크립트 버젼 지정을 지정해준다
윈도우: Ctrl + Shift + P
맥: Cmd + Shift + P
select type이라고 치면 아래에 타입스크립트 버젼 선택이라고 나온다. 클릭!
작업 영역 버전 사용 클릭
→ 워크스페이스 버젼을 사용하겠다는 뜻!
❗️ 근데 이렇게 버젼 설정할 수 있는 검색창이 간혹 안나올 경우가 있는데 그럴때는!
.vscode 폴더를 만들어서
→ 그 안에 settings.json 파일을 하나 만들어준다
**{**
"typescript.tsdk": "node_modules/typescript/li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