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편화된 사유의 접속화

image.png

암묵적 지식은 주관적이고, 정량화 될 수 없기에 각자의 머릿속, 혹은 개인 메모장과 블로그 등에 파편화된 형태로 보관되고 있습니다.

리좀 프로젝트의 웹에서는 이러한 파편화된 사유들이 작성되고 공유됩니다. 개인의 사유들은 누군가에게 읽히고 학습됩니다. 한 사람의 사유는 또 다른 사람의 관점을 자극하며, 새로운 흐름이 생성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냅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teacher와 learner가 구분되어 있는 수직적 구조 자체를 무효화시킵니다.

리좀 프로젝트는 개인의 관점과 시각이 모인 '사유 중심의 도서관' 형태의 웹 공간이 되어 '파편화된 사유의 접속화'를 이뤄내고자 합니다.


Tacit knowledge, by its very nature, is subjective and difficult to quantify.

As a result, it often remains fragmented—stored in personal notebooks, scattered blog posts, or simply confined to one’s mind.

Within the Rhizome Project, these fragmented forms of thought are openly written, shared, and circulated on a collective web-based platform.

What begins as an individual reflection is read by others, triggering new perspectives and insights.

This process creates a virtuous circle, where one person’s thought becomes the seed for another’s.

In doing so, it dismantles the conventional vertical structure of “teacher” and “learner” by allowing all participants to engage on equal footing.

Each piece of writing is capable of connecting with others—

not in a fixed hierarchy, but through fluid relationsh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