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밸런서는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로드)를 분산(=밸런싱)해주는 장치 또는 기술을 통칭

로드밸런싱은 여러 대의 서버를 두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산 처리 시스템에서 필요한 기술입니다.

서버의 대수를 늘려 트래픽을 대처하는 Scale-out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 꼭 필요함.

다양한 로드밸런싱 알고리즘


L4 로드밸런싱과 L7 로드밸런싱

부하 분산에는 L4 로드밸런서와 L7 로드밸런서가 가장 많이 활용됩니다. 그 이유는 L4 로드밸런서부터 포트(Port)정보를 바탕으로 로드를 분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한 대의 서버에 각기 다른 포트 번호를 부여하여 다수의 서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경우라면 최소 L4 로드밸런서 이상을 사용해야만 합니다.

L4 로드밸런서는 네트워크 계층(IP, IPX)이나 트랜스포트 계층(TCP, UDP)의 정보를 바탕으로 로드를 분산합니다. IP주소나 포트번호, MAC주소,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트래픽을 나누는 것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