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p
<aside>
✅
이경민
- 각자 진행도 및 개발상황 공유한 데일리 스크럼
</aside>
<aside>
✅
이승현
- 매일 아침 10시 짧게라도 진행한 데일리 스크럼
- Jira를 활용한 1차 목표 설정과 구체적인 진행 상황 공유
- AWS 배포를 통한 마이크로서비스간 원활한 통신 테스트 가능
</aside>
<aside>
✅
이다예
- 매일 같은 시간 진행한 데일리 스크럼
- 적극적인 협업 툴 사용
</aside>
<aside>
✅
정다겸
</aside>
<aside>
✅
최우탁
- 팀원 간 진행 상황을 원활히 공유
- 일정 관리 도구를 통해 일정을 효과적으로 공유
</aside>
<aside>
✅
황선영
- 공통 ApiResponse 포맷을 만들어 전 서비스에서 일관된 응답 구조를 유지함
- 서비스별 역할과 책임을 구분하여 도메인 간의 경계를 어느 정도 확보함
</aside>
Problem
<aside>
🔥
이경민
- 본인이 맡지 않은 부분에 대한 이해도 부족
- 테스트 코드 작성하지 않아 배포 상황에서 오류 발생시 확인이 지연됨
</aside>
<aside>
🔥
이승현
- PR리뷰를 진행했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일정이 빠듯해져 소홀해진 리뷰
- 서로가 사용한 기술에 대한 공유와 이해 부족
</aside>
<aside>
🔥
이다예
- 프로젝트 기간이 짧아서 아쉬움
</aside>
<aside>
🔥
정다겸
</aside>
<aside>
🔥
최우탁
- 통일감이 충분하지 않은 팀 내 코드 컨벤션
- 장애 발생 시 로깅 부족으로 인한 원인 분석과 디버깅 어려움
</aside>
<aside>
🔥
황선영
- 테스트 코드 작성을 거의 하지 않아 배포 이전 오류 확인이 어려움
- Kafka 장애 발생 시 대응 절차가 명확하지 않음
- 공연 도메인이 공연장, 출연진과 직접 연관되어 있어 코드 복잡도와 의존성이 증가함
</aside>
Try
<aside>
🛠
이경민
- 각 서비스 별로 사용한 기술 및 구조 발표
- 주요 기능 별 핵심기능 테스트 코드 작성
</aside>
<aside>
🛠
이승현
- 고정적인 PR 리뷰 시간 설정
- 스크럼 시간을 제외한 추가적인 스터디/발표 시간을 통해 본인이 사용한 기술에 대한 지식을 팀원들과 함께 공유
</aside>
<aside>
🛠
이다예
- 지금 프로젝트 연장하여 꾸준히 개선시키기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