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tHub 협업은 ‘학교 단체 미술 프로젝트’랑 똑같아요!

선생님(=팀장)이 큰 종이(=저장소)를 나눠주고, 학생들(=팀원)은 각자 자기 그림을 그려서 모아서 하나로 만드는 과정이에요.


📘 단계별 비유 설명

단계 실제 작업 비유 설명
1️⃣ 저장소 클론 GitHub에서 내 컴퓨터로 프로젝트 가져오기 🖼️ 선생님이 만든 미술 판을 복사해서 집에 가져오는 것
2️⃣ 브랜치 생성 내 이름으로 새 작업 공간 만들기 🧾 미술 판에서 내 이름이 적힌 종이 한 장을 따로 만드는 것
3️⃣ 최신 코드 당기기 (Pull) 다른 친구들이 바꾼 내용 미리 받기 👀 친구들이 그린 최신 그림을 내 종이에 복사해두는 것
4️⃣ 코드 수정 & 커밋 내 코드를 만들고 저장함 ✍️ 내 그림을 그려놓고 **'내가 뭐 그렸는지 설명서'**도 붙여두는 것
5️⃣ 푸시 (Push) 내 코드를 GitHub에 올림 📬 그림을 우체통에 선생님한테 보내는 것
6️⃣ PR (Pull Request) “이거 합쳐주세요!” 요청 🙋‍♀️ 선생님께 "제 그림도 합쳐주세요!"라고 말하는 것
7️⃣ Merge (병합) 선생님이 코드를 메인에 합침 🧑‍🏫 선생님이 그림을 전체 미술판에 붙이는 것
8️⃣ 반영 확인 GitHub에서 결과 확인 👁️ 전체 미술판에서 내 그림이 들어간 걸 확인하는 것

🔧 용어 정리도 쉽게!

Git 용어 초딩 비유
Repository (저장소) 프로젝트 저장 공간 선생님이 만든 미술판
Clone 복사해서 내 컴퓨터로 가져오기 미술판을 내 책상에 복사해오기
Branch (브랜치) 나만의 작업 구역 내 이름이 적힌 종이 한 장
Commit 작업 내용을 저장 + 설명 붙이기 그림을 그리며 설명 종이 붙이기
Push GitHub에 작업 올리기 선생님께 그림 우편 보내기
Pull 다른 사람이 그린 것 가져오기 친구 그림을 참고해서 내 그림에 반영
PR (Pull Request) 그림 합쳐달라고 요청하기 선생님에게 "제 것도 붙여주세요!"
Merge 선생님이 그림을 합쳐주는 작업 내 그림을 진짜 미술판에 붙이는 것

🧠 외우기 쉬운 암기 문장

📌 “복사 → 내 공간 만들기 → 최신 그림 받기 → 내 그림 그리기 → 저장 → 보내기 → 붙여달라고 요청 → 완성판 확인!”

(영어로는: Clone → Branch → Pull → Code → Commit → Push → PR → Merge)


필요하시면 이걸 그림으로 만든 PDF도 드릴 수 있어요! 😊

이제 GitHub이 무섭지 않죠?

❓ 그럼 커밋하고 푸시하면 전체 파일이 통째로 올라가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