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부 요구사항과 전제조건에 맞게 분석한 내용이니 참고용으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00m
, 1km
등 상세 조건은 내부 문서 확인)지도 위 폴리곤을 그린다는 것 = 좌표들의 집합으로 영역을 시각화하는 것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가 한 쌍을 이루어 좌표값 배열을 이룸.
예)
// GeoJSON
{
"type": "Polygon",
"coordinates": [
[
[126.9784, 37.5666],
[126.9794, 37.5666],
[126.9794, 37.5656],
[126.9784, 37.5656],
[126.9784, 37.5666] // 시작점 === 끝점
]
]
}
좌표값 배열
폴리곤(격자) 식별자
Geohash: wx4g0ec1 같은 문자열로 위치 표현 → 다시 사각형 폴리곤으로 복원 가능
Uber H3: 전세계 공간을 육각형 격자로 분할 → H3 인덱스 → 육각형 좌표로 변환
국토지리정보원 격자코드: 국내 표준 격자번호 부여 → 좌표계와 규칙이 정의됨
속성 데이터
// 서울신용보증재단에서 제공하는 상권영역 정보
// ※ 행정동 코드는 행정안전부에서 고시한 "주민등록 행정기관코드"를 사용
// ※ 좌표계 EPSG: 5181 (카카오맵 사용)
{
"DESCRIPTION": {
"ADSTRD_CD": "행정동_코드",
"SIGNGU_CD": "자치구_코드",
"YDNTS_VALUE": "와이좌표_값",
"TRDAR_SE_CD": "상권_구분_코드",
"SIGNGU_CD_NM": "자치구_코드_명",
"XCNTS_VALUE": "엑스좌표_값",
"TRDAR_SE_CD_NM": "상권_구분_코드_명",
"ADSTRD_CD_NM": "행정동_코드_명",
"TRDAR_CD": "상권_코드",
"TRDAR_CD_NM": "상권_코드_명",
"RELM_AR": "영역_면적"
},
"DATA": [
{
"adstrd_cd": "11110700",
"signgu_cd_nm": "종로구",
"signgu_cd": "11110",
"trdar_se_cd": "A",
"trdar_cd_nm": "창신역 4번",
"trdar_se_cd_nm": "골목상권",
"relm_ar": 77869,
"ydnts_value": 453118,
"adstrd_cd_nm": "숭인1동",
"xcnts_value": 201471,
"trdar_cd": "3110033"
}
{
"adstrd_cd": "11170570",
"signgu_cd_nm": "용산구",
"signgu_cd": "11170",
"trdar_se_cd": "A",
"trdar_cd_nm": "성심여자고등학교",
"trdar_se_cd_nm": "골목상권",
"relm_ar": 135620,
"ydnts_value": 448136,
"adstrd_cd_nm": "원효로2동",
"xcnts_value": 195949,
"trdar_cd": "3110058"
},
{
"adstrd_cd": "11140550",
"signgu_cd_nm": "중구",
"signgu_cd":"11140",
"trdar_se_cd": "A",
"trdar_cd_nm": "남산케이블카",
"trdar_se_cd_nm": "골목상권",
"relm_ar": 130560,
"ydnts_value": 450764,
"adstrd_cd_nm": "명동",
"xcnts_value": 198659,
"trdar_cd": "3110041"
},
{
"adstrd_cd": "11140645",
"signgu_cd_nm": "중구",
"signgu_cd": "11140",
"trdar_se_cd": "A",
"trdar_cd_nm": "청구역 3번",
"trdar_se_cd_nm": "골목상권",
"relm_ar": 69155,
"ydnts_value": 450806,
"adstrd_cd_nm": "청구동",
"xcnts_value": 201174,
"trdar_cd": "3110054"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