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1. Study on
2. Learn with
한 줄 요약:
<aside> 💡
in
print(3 in [1, 2, 3, 4]) # True
print("a" in "cat") # True
print("z" in "cat") # False
fruits = ["사과", "바나나", "포도"]
for fruit in fruits: # 리스트 안에 있는 요소들을 순서대로 꺼냄
print(fruit)
출력:
사과
바나나
포도
👉 즉, in
은 "이 값이 이 안에 있니?" 또는 "이 안에 있는 걸 하나씩 꺼내줘" 라는 의미.
range
range(start, stop, step)
start
: 시작 숫자 (기본값 0)stop
: 끝 숫자 (이전까지만, stop은 포함되지 않음)step
: 증가 간격 (기본값 1)for i in range(5):
print(i)
출력:
0
1
2
3
4
for i in range(2, 11, 2):
print(i)
출력:
2
4
6
8
10
👉 즉, range
는 순서대로 반복할 숫자 목록을 생성하는 도구.
in
+ range
보통 for
문에서 가장 많이 같이 쓰여요.
for i in range(5): # 0~4까지 i에 하나씩 들어감
print(i)
이건 사실상 이렇게 읽는 겁니다:
i
가 range(5)
안에 있는 동안 반복해라"in
: "이 값이 이 안에 있니?" / "이 안에 있는 걸 하나씩 꺼내라"range
: "숫자의 범위를 만들어라"for i in range(n)
은 "0부터 n-1까지 숫자를 하나씩 꺼내서 i에 넣어라"라는 뜻
</aside>두 정수 a
, b
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은 형태의 계산식을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해 보세요.
a + b = c
a
, b
≤ 100입력 #1
4 5
출력 #1
4 + 5 = 9
a, b = map(int, input().strip().split(' '))
a, b = map(int, input().split())
# 출력 방법
print(f"{a} + {b} = {a+b}")
print(str(a) + ' + ' + str(b) + ' = ' + str(a+b))
print(a, '+', b,'=',a+b)
c = a + b
print('{} + {} = {}'.format(a, b, c))
두 코드 모두 최종적으로 ['4', '5']
와 같은 리스트를 반환하므로, **map(int, ...)
**와 결합했을 때 결과는 똑같습니다.
하지만 두 번째 코드(input().split()
)가 더 간결하고 효율적입니다. strip()
을 명시적으로 호출할 필요가 없으며, 여러 개의 연속된 공백도 문제없이 처리하기 때문에 더 범용적입니다. 일반적으로 파이썬에서는 input().split()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