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스토밍
-
백엔드 시작
-
프론트랑 백 연결하기
-
jwt 토큰
과정
community clone 진행 과정
시행착오
- like 상태 저장 방법
- jwt 토큰 인증 방법
- delete 처리 방식
- 게시물 조회 url에 postId 포함
- 댓글 수정, 삭제 버튼은 모든 댓글에 달려 있어야 하나?
- 회원가입 후 로그인 창으로 이동? 바로 게시판?
- PATCH 이후 업데이트 시간 지연
회고
- 깃 커밋 관리가 너무 익숙하지 않다. 계속 까먹는다. 정신없이 개발하고 있다보면 항상 까먹는다. 나중엔 구현한 기능이랑 중간에 버그 잡은 거랑, 파일 구조 정리한 거랑 다 섞여버려서 결국 한 번에 커밋해버리고 만다..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 것 같은데 관리한다는 생각을 좀 하고 있어야 할 것 같다.
- 가끔 너무 작은 것에 집착하고 있나라는 생각이 든다. 예를 들면 더미데이터 내용이라던지, 리드미에 들어갈 내용이라던지, 색상코드, 지역변수, 주석 이런거에 말이다. 하다보면 그런 걸 많이 건드리고 있다. 덜 신경써도 될 것에 관심이 가는 경향이 있다…. 일을 할 때에는 불필요한 습관인 것 같다.
방금은 커뮤니티 열심히 만들다가 블로그 디자인 바꾸고 왔다. ㅋㅋ 집중을 좀 하자…
- 에러 반환 메세지를 일관성 있게 작성해야 한다는 것을 느꼈다. 그렇게 하면 디버깅 시간이 훨씬 줄어들 것 같다. 물론 콘솔창에도 에러가 나오지만, 이를 한글로 이해하고 다시 검색해서 어디서 발생한 에러인지 알아내는 것보다 노력이 덜 들 것 같다.
- 이걸 백엔드에서 처리해야 코드도 로직도 깔끔해진다!! ResponseExce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