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에 대한 자세한 소개는 생략한다.
다음은 첫 예제이다.
//주석
#include<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cout << "Hello world" << endl;
return 0;
}
주석은 // 또는 /~~~/으로 작성한다.
#include<iostream>는 현재 위치에 iostream이라는 헤더 파일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어떤 헤더파일을 불러오기 위해선 #include<불러올 헤더 파일> 형식으로 작성한다.
별개로 #include” “ 형식은 자신의 디렉터리 파일에 있는 헤더파일을 읽어올 때 사용한다.
using namespace std;는 이름 공간을 설정한 것으로 변수 이름이나 함수 이름과 같은 수많은 이름 공간이라고 하는 영역으로 분리되어 저장한다.
프린트라는 이름의 함수가 있다고 가정하면, A와 B 라는 사용자가 프린트라는 함수로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이 두 개의 프로그램을 합칠 때 같은 이름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이름 공간, name space이다. A의 프린트 함수, B의 프린트 함수를 구별하게 하는 것이다.
using을 안쓴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해야한다.
std::cout << "Hello World!" << std::endl;
위 코드를 분석하면
즉 std ::cout는 “std 네임스페이스에 속한 cout이다” 라고 할 수 있다.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std에 속한 cout 객체에 Hello World” 문자열과 endl 객체를 넘겨(<<)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