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chain
- 블록(block)을 연결(chaining)한 모음
- 온라인 거래 정보를 수정할 수 없도록 데이터를 블록으로 만들고 암호기술을 사용한 고리 모양의 체인으로 연결하여 분산 컴퓨팅 기술로 저장·관리하는 방식
블록체인의 기본 구조
- 블록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블록 모음의 형태이며 P2P 네트워크를 기반
*P2P 네트워크: 대등한 관계의 컴퓨터 그룹이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중심이 없는 네트워크를 의미
- 일정 시간 동안 네트워크 참여자가 거래 정보를 서로 교환해 확인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거쳐, 서로 동의한 거래 정보들만 하나의 블록으로 생성
- 새로 만들어진 블록을 이전 블록체인에 연결, 그 사본을 만들어 각 네트워크 참여자 디지털 장비에 분산‧저장
- 안전한 교환을 위해 해시 함수, 디지털 서명, 합의 알고리즘 등을 사용
*해쉬함수: 임의의 길이의 문자열을 고정된 길이의 이진 문자열로 매핑하여 주는 함수, 결과: 해시값
- 이러한 구조의 장점
- 기존 은행처럼 중앙 서버에 거래 장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운영·관리할 필요가 없어 관리 비용을 절감 가능
- 분산‧저장하므로 해킹이 어려워 금융 거래의 높은 안전성
-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분산‧저장된 블록체인 사본을 비교 → 해킹 여부 판단하고 빠르게 복구 가능
TTP(Trusted Third Party; 신뢰할 수 있는 제3자)
중앙 신뢰기관
기존의 중앙 신뢰기관을 통한 데이터 저장은 블록체인보다 상대적으로 데이터 변경이 쉬움, 데이터 훼손이 쉬움, 누가 변경했는지 알기 어려움, 믿을 수 있는 관리자인지
블록체인은 관리자가 필요없음
신뢰가 없는 환경에서 중립적이고 중앙화된 인증기관 없이 신뢰를 보장하는 기술이 필요
Bitcoin; 거대한 분산 공개 장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