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 같은 자료형의 데이터를 여러개 담을 수 있는 자료구조
→ 길이를 한번 정하면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는게 불가능
→ 늘리고 싶다면 : 더 큰 배열을 만들고 깊은 복사를 하면 됨
- 참조변수는 배열까지 접근할 수 있는 주소(address)를 알고 있다.
→ 배열은 반복문이랑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aside>
- 자료형[] 배열명;
- 자료형 배열명[];
- 대괄호[]는 배열의 연산자를 의미한다
- 자료형 뒤에 붙이는 것이 가독성이 좋다
 
- 배열을 선언만 하고  생성하지 않을 경우 시스템은 배열을 만들때 null이라는 키워드를 부여한다.
- 배열 변수는 만들었지만 그 안에 값을 담을 공간들이 생성이 안됐다는 뜻
배열 생성
- 배열의 데이터를 넣어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줘야 배열 사용 가능
- 프로그래밍은 뭔가 기억할 때 메모리를 사용
- 배열은  Heap 공간에 할당
- 배열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new 라는 연산자와 함께 자료형의 길이를 지정
- 배열에 담을 데이터의 개수
- ex)  new int [4];
- 메모리에 배열의 데이터를 4개의 공간만큼 확보해라
 
 
선언과 생성을 동시에 하는 것 가능
int [] arr = new int [4];
⇒ 비어있는 크기가 4자리 정수형 배열
→ 자료형 [] 배열명 = new 자료형[크기]
int[] arr = {1,2,3,4}
⇒ 위와 같이 내가 넣은 값을 지정할 수 있다.
⇒ 배열을 최초로 할 때만 가능
int[] = arr; //배열선언
arr = {1,2,3,4,5} //오류
⇒ 배열 선언 후, 대입은 안됨
⇒ 초기화 배열 목록 or  배열 리터럴은 안됨 (arr = {1,2,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