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안. 노인 데이터 사용 ✅
장점: 시계열 충분 (10분간격으로 두달치 측정), 환경 변수 포함
단점: 24명 분량이 다임 → 모델 일반화가 어려움
이상탐지를 한다면???? → 정상 데이터로 모델 학습 시켜야되는데
→ 환경 Label(EM_Sensor): 수면, 기타
→ 생체 Label(SM_Sensor): 일상, 주의, 위험
2안. vitaldb 데이터 사용
독거노인 돌봄용 위험감지 데이터
독거노인 돌봄용 위험감지 데이터
데이터 세부 구성
. 환경측정 및 동작감지 데이터: 온도,습도,조도,IR기반움직임,이산화탄소,TVOC
. 생체신호 데이터: 분당 심박수, 분당 호흡수, 혈중산소농도, 피부온도변화, 수면 단계, 수면 점수, 10분당 걸음수, 스트레스 지수, 활동강도, 소모칼로리
1차. 정상 데이터 분류 (7/25)
Total_Labeling[’Estimation’] 기준 ‘위험’, ‘주의’가 아닌 데이터들 필터링 → 정상 데이터
→ 주의/위험 제외 후 슬라이딩 윈도우 → 윈도우 단위로 정상이면 유지
‘정상’ 구간이 충분히 긴 곳만 슬라이딩 윈도우로 자르고 학습 데이터로 사용
[x] 수집 데이터 확정
[ ] 결측치 확인
[ ] 결측치 처리
[ ] EDA?
데이터 수집: 10분 간격
윈도우 길이 : 6
슬라이딩 스텝: 1(10분) → 10분마다 추론
1초 마다 추론..
시계열 + 이상탐지
LSTM autoencoder
다인 오픈 데이터셋 + 개인 보정(파인튜닝)
1차: 오픈 데이터셋으로 일반적 이상/정상 패턴 모델 학습
2차: (시연할) 개인별 초반 측정 데이터로 미세 튜닝, 개인별 정상 구간 동적 보정
인원 수 적음
→ 모델을 서버에 미리 로드해두고 캐싱 상태로 유지
추론
이상 탐지 시 서버 전송( → MQTT?)
(보안 측면 → 바이탈 데이터는 디바이스에 남기고 오차만 전송 가능)
payload = {
"user_id": "U123",
"timestamp": "2025-07-21T11:45:00",
"mse": mse
}
후처리(BE)
임계치 기준?!
온디바이스 사용 안한다면? → 최대한 경량화해서 온디바이스.. .. .. .. … .. 쪽으로…
모델 경량화 → 라즈베리파이 쪽으로!
json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