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AI를 활용하여 빠르게 MVP를 만드는 방법론에 대해 논의합니다. (2025년 8월 17일)
</aside>
Vibe Coding, Agent, MCP 등 핫한 키워드들이 2025년 상반기를 강타했습니다. 사실 해당 개념들은 2024년 하반기에 나왔지만, 점점 표준화 및 최적화가 진행되면서 이제 Agent라는 것이 정립되어 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제는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단계까지 넘어온 상황에서 저희는 어떠한 방식으로 이 툴들을 사용할지 논의해봐야 합니다. 제가 현재 생각하고 있는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획과 디자인은 매번 변합니다. 시장 상황이 바뀔수도 있고 세상에 없던 디자인이 나와야 할 수도 있습니다. 데이터를 무수히 학습하여 나오는 AI 특성상 새로운 형태의 기획 디자인이 나오기가 쉽지 않습니다. 여기서는 사람의 개입이 아직은 필요해보입니다.
특정 개발 언어는 변하지 않습니다. 이미 정의된 코드 및 함수들을 어떻게 활용하여 개발할 것인지에 대해서 고민합니다. 그리고 이미 AI가 세상에 나와있지 않은 코드를 스스로 만드는 단계까지 성장했습니다(Agent). 그리고 MVP 단계 정도의 개발할 코드들은 이미 세상에 다 나와있습니다. 단지 제가 못 작성할 뿐이죠. 이러한 코드들은 AI를 이용해서 빠르게 개발이 가능합니다. 특히, Next.js + TailwindCSS 조합이 AI에 최적입니다.
그렇기에 크게 두 단계로 나뉘어야 합니다.
기획과 디자인은 Chat-GPT 등을 이용하여
개발은 Agent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 개발을 할 수 있는 AI 스쿼드 팀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이를 통해 시장 검증을 진행하고:
위의 방법론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원칙을 유의해야 합니다.
<aside> 🔥
</aside>
단계 | 세부 Step | 산출물 (Output) | 사용할 tool | |
---|---|---|---|---|
1. 기획 | 1-1 아이디어 회의 | 아이디어 메모, 회의 노트 | Agent(Chat GPT or Gemini) : 아이디어 탐색, 경쟁사 조사 등 대부분의 아이디어는 Agent와 함께 | |
FigJam AI or Miro AI : 정리한 아이디어를 structural visualization을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만드는데 사용 | ||||
1-2 문제 정의 및 가설 수립 | 문제 정의 문서, 가설(문제/해결/지불의사) | Agent (Chat GPT or Gemini) : 문제 정의 및 가설에 대해서 AI와 함께 토론하여 비판적으로 사고하도록 도움 | https://www.pragmaticcoders.com/blog/top-ai-market-research-tools#:~:text=Market Insights AI is built,stage project | |
1-3 유저 리서치 (인터뷰, 설문) | 인터뷰 요약, 리서치 리포트 | Chat(Chat GPT) : 유저 인터뷰 질문 생성 | ||
clova note : 음성 녹음 | ||||
tl;dv : 온라인 회의 녹화 플랫폼 | ||||
lilys : 유튜브 영상 요약 | ||||
1-4 경쟁/대안 리서치 | 경쟁사 비교표, 대체행동 분석 | Agent (Chat GPT or Gemini) : 웹에서 해당 서비스와 유사한 서비스를 검색하여 비교 | ||
1-5 인사이트 도출 | 핵심 인사이트 목록 | Chat(Chat GPT or Gemini) : 인터뷰 내용 등 pdf나 txt 파일을 입력으로 주고 인사이트를 도출 | ||
Maze : 시각적인 인사이트 리포트 | ||||
1-6 유저 저니맵 작성 | 사용자 여정 지도(User Journey Map) | Chat(Chat-GPT) : 유저 저니맵의 초안 작성 | ||
Boardmix : 유저 저니맵용 툴 | ||||
QoQo.ai : 피그마 플러그인으로 유저 저니맵을 시각화하는 기능 | https://www.youtube.com/watch?v=isgZyVzQ2GQ | |||
1-7 유저 페르소나 설정 | 페르소나 문서 | Chat(Chat-GPT) : 유저 페르소나 초안 작성 | ||
QoQo.ai : 피그마 플러그인으로 유저 페르소나을 시각화하는 기능 | https://www.youtube.com/watch?v=NXg7hh7mC-I&t=257s | |||
1-8 Feature list 작성 | 기능 목록(초안) | Chat (Chat-GPT or Cluade) : 피쳐 리스트를 chat-gpt에서 뽑을 경우 메모리를 통해 놓치지 않고 기능을 뽑을 수 있음. 반대로 Claude를 사용할 경우 개발적인 기능을 뽑기 용이. 이 경우 정돈된 기획 문서가 나와야 함 | ||
1-9 성공 지표(OMTM) 설정 | OMTM 정의 문서 | Chat(Chat-GPT or Claude) : 기능 중에서 핵심 기능을 설정하고 OMTM을 설정 |
단계 | 세부 Step | 산출물 (Output) | 사용할 tool |
---|---|---|---|
2. 디자인 | 2-1 Flow chart(Task flow) 작성 | 사용자 과업 흐름 다이어그램 | Chat(GPT or Claude) : 다른 AI 툴에 넣어줄 프롬프트 작성 |
FigJam AI : Figma와의 연동이 좋음 | |||
QoQo.AI : figma 플러그인으로 제작 가능 | |||
2-2 Information Architecture 작성 | IA 문서(스크린 구조) | Chat(GPT or Claude) : 다른 AI 툴에 넣어줄 프롬프트 작성 | |
FigJam AI : Figma와의 연동이 좋음 | |||
QoQo.AI : figma 플러그인으로 제작 가능 | |||
2-3 Wireframe 작성 | 화면 스케치, 저충실도 와이어 | Chat(GPT or Claude) : 다른 AI 툴에 넣어줄 프롬프트 작성 |
Uizard AI : 스케치를 Wire frame화를 해줌
Relume : 웹사이트 구조(sitemap)에 따른 Wire frame 제작이 쉬움(모바일 지원) | | | 2-4 User flow 작성 | 유저 플로우 다이어그램 | Chat(GPT or Claude) : 프롬프트 작성
UXPilot : 와이어 프레임 제작 후 피그마 연동
Relume (웹) : 웹사이트 구조(sitemap)에 따른 Wire frame 제작이 쉬움 | | | 2-5 Lo-fi 프로토타입 제작 → 사용자 피드백 수집 | 클릭 프로토타입, 피드백 리포트 | stich : 디자인 원칙에 근거한 Lo-FI 제작에 용이 | | | 2-6 인사이트 반영 후 개선 | 수정된 와이어/플로우 | | | | 2-7 최소 디자인 시스템 정의 | 폰트, 컬러, 버튼 규칙 | Chat(Chat-GPT) : 기획에 기반한 폰트, 컬러, 레이아웃 디자인 시스템 제안
Relume : wire frame 기반으로 스타일 추천 및 시각화 기능 | | | 2-8 Hi-fi 프로토타입 제작 | 고충실도 화면 디자인 | UXPilot : 빠른 Hi-Fi 작성에 용이(피그마 연동 지원) | | | 2-9 접근성 & 플랫폼 가이드 체크 | 가이드 검토 결과 | |
Reference : https://brunch.co.kr/@areeza77/222
단계 | 세부 Step | 산출물 (Output) | 사용할 tool |
---|---|---|---|
3. 개발 | 3-1 개발 스콥 설정 (우선순위) | 개발 범위 문서, 칸반 보드 | Claude code |
3-2 API/데이터 모델 정의 | API 스펙 문서, DB 모델 | Claude code | |
3-3 로직 개발 (백엔드/서버리스) | 서버 함수 코드 | Cursor / Windsurf : 피그마 MCP 연동 후 개발 | |
3-4 프론트엔드 개발 (UI) | 화면 코드, UI 컴포넌트 | Cursor / Windsurf : 피그마 MCP 연동 후 개발 |
Dev.0 : 웹 개발
Figma Make : 프론트엔드 개발을 위한 툴 | | | 3-5 핵심 기능 통합 및 테스트 | 통합 빌드 | Cursor / Windsurf : 피그마 MCP 연동 후 개발 | | | 3-6 QA (스모크 테스트) | 버그 리포트 | Cursor / Windsurf : 피그마 MCP 연동 후 개발 | | | 3-7 내부 배포 (TestFlight/내부 채널) | 베타 빌드 | Cursor / Windsurf : 피그마 MCP 연동 후 개발 | | | 3-8 소규모 베타 테스트 (5~10명) | 사용자 피드백, 사용성 기록 | | | | 3-9 로그/지표 삽입 (트래킹) | 이벤트 로그 대시보드 | | | | 3-10 피드백 수집 및 개선 | 개선 티켓 목록, 패치 노트 | |
<aside> 🔥
AI tool을 쓰는 방법론을 알아야 고퀄리티의 작업물이 나옵니다. 방법론은 크게 다음 과정으로 나뉩니다.
Claude Code → Cursor → Figma → UI 수정 → Dev.0
등 하나의 목표를 얻기 위해서 어떠한 다양한 툴들의 오케스트레이션 과정을 거쳐야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aside>Figma Sites : 랜딩 페이지 제작으로 시장 검증에 사용 (Framer와 동일)
프론트엔드 개발 : https://www.youtube.com/watch?v=RnJkhxFMW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