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은 어떻게 뇌까지 전달되는가? / YTN 사이언스
- 감각신호를 전달하는 주요 경로
- 감각신호는 연수에서 좌우로 교차한다.
- 시상에서 전달된 감각신호를 중개한다.
- 교뇌는 얼굴의 감각정보를 처리한다.
- 교뇌(다리뇌, pons)
- 척추동물의 중뇌와 연수 사이에 위치하는 중추신경계의 일부
- 중뇌(midbrain)
- 안구, 운동 등 중요 신경이 지나가는 뇌의 가운데 부위. 사이뇌와 다리뇌를 연결한다.
- 숨뇌(연수, medulla oblongata)
- 척수와 곧바로 연결되어 있으며, 호흡이나 혈액 순환을 조절한다.
- 일차체감영역(S1)
- 촉감과 기타 피부 및 근육의 정보를 일차적으로 처리하는 영역
- 일차운동피질(M1)
- 운동뉴런을 움직여 근육이 움직일 수 있게 명령 신호를 보내는 두뇌 영역
- 시상은 감각정보를 대뇌피질로 중개한다.
- 팔, 다리, 얼굴의 감각정보는 대뇌피질의 일차체감각영역(S1)에 도달한다.
- 예측이 가능한 이유는? 감각영역과 운동영역이 밀접하게 위치해 있기 때문.
- 얇은핵(박속핵, nucleus gracilis)
- 연수배측에 있는 박속결절 밑의 세포. 고유감각 및 피부촉각의 전도로
- 쐐기핵(설상핵, nucleus cuneatus)
- 연수배측에 있는 설상결절 밑의 세포. 고유감각 및 피부촉각의 전도로
- 팔의 감각정보를 담당하는 쐐기핵과 다리의 감각정보를 담당하는 얇은핵 두 가지를 합친 영역을 후섬유단이라 한다.
- 후섬유단은 시상을 거쳐 대뇌피질에 도달한다.
- 뇌간(brainstem)
- 좌우 대뇌반구와 소뇌를 제외한 뇌의 가운데 부위. 뇌와 척수를 이어주는 줄기 역할
- 상호뇌각(superior cerebellar peduncle)
- 중소뇌각(middle cerebellar peduncle)
- 3종의 소뇌각 중 가장 크고 대뇌반구를 소뇌반구와 연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