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 solution = (num1, num2) => num1 + num2;
const solution = (num1, num2) => num1 - num2;
const solution = (num1, num2) => num1 * num2;
// 피드백 전 코드
const solution = (num1, num2) => parseInt(num1 / num2);
// 피드백 후 코드
const solution = (num1, num2) => Math.floor(num1 / num2);
문제를 풀면서 화살표 함수라는 표현식을 사용해 보았습니다.
조금 간결하게 알고 싶다면 첫 번째 글을, 더 자세하게 알고 싶다면 두 번째 글을 참고해 주세요.
[모던 JavaScript 튜토리얼] 화살표 함수 기본
4번 몫 구하기 문제를 풀고 나서, 다른 사람의 풀이를 확인해 보았는데 저럼 parseInt()
를 사용하여 문제를 푼 분의 코드에 다음과 같은 댓글이 달려 있었습니다.
“큰 수에서는 type number에 string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소수점 이하를 절삭하여 정수 값을 return하려는 목적으로 Math.floor 대신에 parseInt를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parseInt()
와 Math.floor()
의 차이가 궁금해졌고, MDN 공식문서를 통해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었습니다.